승진폭 확대 등 직원 사기진작 방안 추진

청와대가 올해초 행정관 `향응수수 의혹'을 계기로 실시한 `100일 내부감찰'이 오는 7일로 마무리된다.

지난 3월 30일 시작된 이번 감찰로 인해 내부 불만과 부작용 등에 대한 우려도 있었으나 직원들의 자정분위기가 정착되는 등 긍정적 효과도 적지 않았다는 게 청와대 자평이다.

민정라인 핵심 참모는 5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100일 내부감찰 활동이 사실상 종료됨에 따라 오는 6~7일께 정정길 대통령실장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에게 최종 보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민정수석실 산하 감사팀원 7명과 특별팀원 12명 등 총 20여명이 벌인 이번 내부감찰에서 사법처리 대상이나 윤리강령 위반에 따른 징계 대상자는 한 명도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내부감찰반은 최근 금품수수 제보가 접수된 직원 A씨, 각각 유흥업소와 골프장 출입이 잦다는 의혹을 받아온 직원 B씨, C씨 등 일부 직원들에 대해 대면조사와 현장확인 등을 벌였으나 모두 `무혐의'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 참모는 "내부감찰 사실이 언론에 보도된 직후 각종 제보가 잇따랐으나 대부분이 음해성으로 판명됐다"면서 "직원들 사이에서 스스로 조심하는 분위기가 형성돼 징계 대상자가 나오지 않았으나 경계심이 느슨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번 시한부 감찰 이후에도 상시감찰은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감찰은 직원들의 업무패턴이나 내부 분위기도 많이 바꿔놨다는 게 청와대 참모들의 전언이다.

괜한 오해를 피하기 위해 직원들이 외부에서 식사하는 것을 꺼리다 보니 구내식당 이용자가 늘어났고, 점심시간이나 업무시간 이후에 체력단련을 하거나 어학공부를 하는 직원도 많아졌다는 후문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내부감찰에 대해 별다른 성과도 내지 못한 채 직원들의 사기만 꺾어놨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감찰팀 관계자는 "이번 감찰의 목적은 당초부터 적발이나 징계가 아닌 부정 예방과 직원 보호였다"면서 "실적을 내놓기 위해 무리한 감찰을 해서는 안된다는 게 처음부터 내려온 방침이었다"고 설명했다.

민정라인은 이번 내부감찰이 종료됨에 따라 직원들의 사기진작을 위한 10대 방안을 마련해 조만간 이 대통령에게 보고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사기진작 대책에는 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이 대통령의 격려메시지 발송을 비롯해 여름휴가 독려, 승진폭 확대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huma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