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의 구조조정이 10년 만에 다시 본격화됐다. 최근 채권단과의 재무구조개선 약정이 속속 체결되면서다.

정부가 금융권을 통해 계열사나 자산 매각을 압박하고 있는 점은 예나 지금이나 비슷하다. 자발적인 자구노력을 하지 않으면 기업이 통째로 거덜날 수 있다는 '협박성 메시지'가 나오고 있다는 점도 유사하다. 또 일부 어려운 기업들이 구조조정을 거부한 채 버티기에 들어갔다는 소문도 어디서 많이 듣던 스토리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 한 대기업 재무담당 임원은 "립서비스 냄새가 날 때도 있지만,정부가 스스로 시장친화형 구조조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이채롭다"고 말했다. 사실 살벌한 구조조정 시장에 '시장친화적'이란 표현이 등장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 말의 뜻은 외환위기 직후 진행된 구조조정 양상을 떠올려보면 금방 알 수 있다.

당시 키워드는 '빅딜,워크아웃,외자유치' 등이었다. 여기에 하나 더하면 '재계의 저승사자'로 불렸던 '이헌재' 정도일까. 국가부도 사태에 직면했기에 제대로 된 시장이 있을 리 만무했다. 동원할 수 있는 정책은 대부분 비상한 것들이었다. 특히 빅딜과 워크아웃에는 누가 봐도 시장논리 외에 다른(?) 논리가 작용했던 것이 분명하다. 이 틈에 구조조정 시장의 유일한 수요자였던 외국계 자본은 외자유치 지상주의의 바람을 타고 과실을 독점했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나,이제 시장친화형 구조조정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을 보면서 그만큼 우리 경제가 한 단계 성숙했다는 느낌을 받는다. 한 회계법인 대표는 "정부가 인위적으로 기업을 윽박지르고 해체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채권단과 기업들이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점,해당 기업들이 정부보다는 시장을 설득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점 등은 긍정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고 평했다.

하지만 시장친화적 구조조정이라고 약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시장도 판단을 잘못하거나 실수할 때가 있기 때문이다. 한 대기업 임원은 "시장은 항상 눈에 보이는 것을 절대시하는 측면이 있다. 조금만 더 투자하면 성장할 수 있는 사업에도 부정적인 눈길을 주기 일쑤"라고 말했다.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을 갉아먹지 않는 방향으로 구조조정이 돼야 한다는 얘기다. 기업과 시장의 소통이 지금보다 훨씬 원활하게 이뤄져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