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항쟁 21주년인 10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시위에 이번 쇠고기 사태 이후 최대 인파인 10만여명(이하 경찰 추산,주최 측 추산 50만명.오후 10시 현재)이 결집했다.

집회 참석자는 시간이 갈수록 계속 늘어났다.

전국 1700여개 시민사회단체와 네티즌모임으로 구성된 '광우병 국민대책회의'는 오후 7시부터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 세종로와 태평로 일대에서 '6·10 고시철회ㆍ즉각 재협상 및 이명박 정권 심판 100만 촛불대행진'을 열었다.

21년 전 민주화의 밑거름이 됐던 고 이한열씨의 추모 행렬과 고 박종철씨의 유가족 등이 촛불집회에 합류하면서 당시 민주화의 주역이었던 386세대 '넥타이 부대'도 집회의 한 축을 형성했다.

민주노총 산하 공공운수연맹과 금속노조 등 노조 조합원 7000여명,전교조 소속 교사 200여명,불교환경연대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기독교 공동대책위원회 등 종교인 수백명을 포함한 각계의 동참도 잇따랐다.


○…뉴라이트전국연합과 국민행동본부 등 보수단체 회원 6000여명도 서울광장에서 '법질서 수호 및 한·미 FTA 비준촉구 국민대회'를 열어 촛불시위에 참가하는 시민들과 일부 마찰을 빚기도 했다.

또 다른 보수단체인 새물결국민운동중앙회는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서 1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역시 한·미 FTA 비준을 호소하는 문화제를 개최했다.


○…통합민주당 지도부도 촛불집회에 참여했다.

집회가 시작되기 1시간 전 모습을 드러낸 당 지도부는 행사장 한편에서 가축전염병 예방법 개정안에 대한 서명운동을 전개했다.

손학규 대표는 "30개월 이하 살코기만 수입하도록 하는 내용의 가축법 개정으로 정부가 재협상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며 지나가는 시민들의 참여를 호소했다.

이후 촛불 집회에서 당 지도부는 시민들과 섞여 앉아 집회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들은 간간이 촛불을 흔들고 박수를 쳤으나 '이명박은 물러나라'는 등의 정권퇴진 구호에는 입을 닫는 등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민단체들은 미군차량 사고로 사망한 미선.효순양 사망 6주기 촛불문화제를 13일 개최할 예정이다.

하지만 미선양 어머니 이옥자씨는 불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씨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 아이들을 기억해 주는 많은 분들께는 정말 고마워요.

하지만 요즘 문화제가 점점 폭력적으로 변해가는 것 같아 걱정됩니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아이들의 죽음을 곧장 반미구호로 연결하는 것은 원치 않는다"고도 했다.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이날 저녁 7시30분쯤 광화문 현장에 나타나 주변을 일시 긴장시켰다.연단을 향해 걸어가던 정 장관은 시위대가 '매국노' 등의 욕설을 퍼부으며 제지하는 바람에 골목길까지 밀려나 10여분을 보내다 미리 대기시켜 놓은 차량을 타고 자리를 빠져나갔다.

정 장관은 시민들에게 둘러싸인 채 "정부당국 책임자로서 국민 앞에 무릎 꿇고 사죄하러 왔다"며 "미국에서 협상이 시작됐으며 어떻게든 안전한 쇠고기를 들여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해명했다.

○…한 달 이상 지속되고 있는 촛불집회로 서울 도심 주요 통행로가 연일 통제되면서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 수요가 폭증,실시간 교통정보를 알려주는 경찰 교통정보 사이트가 결국 마비됐다.

서울경찰청 종합교통정보센터 홈페이지(www.spatic.go.kr)는 촛불집회가 본격화된 지난달 중순부터 사용자가 늘어나기 시작해 최대 규모의 촛불집회가 열린 10일 오후에는 사이트 접속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를 위한 촛불문화제는 '6.10집회' 이후 어떻게 변할 것인가.

촛불문화제가 10일 '6.10민주항쟁' 집회와 맞물려 최대 규모로 치러지면서 촛불문화제의 지속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한풀 꺾일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촛불시위가 한 달 이상 진행됐고 정부와 미국이 30개월 이상 쇠고기 반입을 막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등 상황 변화가 적지 않다는 것.

하지만 소규모 집회는 계속될 것이란 시각도 있다.

효선.미선사건(13일)과 6.15남북공동선언,7월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 방한 등 시위 참가자들을 유인할 재료가 이어진다는 것.또 화물연대 파업과 민노총 파업 등 변수가 많은 상태다.

이해성/박민제/이재철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