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산업 건설부문이 서울 한남동 단국대 부지 개발사업으로 넉 달째 골머리를 앓고 있다.

금호아시아나그룹 이미지를 살린 최고급 랜드마크 주거단지로 만든다는 방침이지만 분양가 상한제 하에선 '답'이 나오지 않아서다.

10일 금호건설에 따르면 단국대 부지 사업주체 측은 작년 9월 서울 용산구청에 사업계획 승인을 신청했으나 "학교용지 폐지결정 고시가 내려지지 않았다"며 반려됐다.

이후 서울시 심의를 통과했던 단국대 부지 단지 및 외관 디자인을 수정하기 위해 외국의 벤치마킹 사례를 찾고 있다.

그러나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는 표준 건축비로는 고급 빌라형 아파트 단지를 짓기 힘들어 사업계획을 어떻게 수정해야 할지 갈피를 못 잡고 있다.

금호건설의 고민은 분양가 상한제를 피할 사업개발방식을 찾아야 한다는 점이다.

방향을 틀어 '서비스드 레지던스'식으로 개발하는 것도 고려해봤다.

이에 대해 시행사와 시공사는 물론 채권이 물려 있는 이해관계자들 모두 투자금을 한번에 회수하고 수익을 배분하기를 원해 포기했다.

설사 상한제를 피할 수 있는 사업방식을 찾더라도 편법적인 사업시행이라는 여론의 포화를 맞을까봐 고심하고 있다.

금호건설은 당초 그룹의 자존심을 건 랜드마크를 단국대 부지에 조성하기 위해 1조원대의 사업규모로 개발을 추진해왔다.

13만5830㎡(약 4만7500평) 부지에 전체 31개동(600가구) 규모의 고급 주택과 부대시설을 지을 계획이었다.

평균 용적률 126%를 적용,지상 3층의 고급 빌라와 5~12층짜리 고급 아파트를 짓는다는 구상이었다.

금호는 3.3㎡당 3000만원 정도의 분양가를 예상했으나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면 예상가에 훨씬 못 미치게 된다.

이 경우 사업 규모는 당초 1조원대에서 8000억원대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대해 금호건설은 "단국대 부지 감정가가 아직 안 나왔지만 인근 지역 땅값만 3.3㎡당 2000만원에 육박하기 때문에 상한제가 적용되더라도 분양가는 크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단국대 부지 주인은 시행사인 한스자람이다.

이 회사는 부동산 개발업체인 공간토건과 금호산업,채권은행 등이 사업추진을 위해 공동설립한 특수목적법인.금호산업은 한스자람에 지분 10%를 투자했다.

금호산업이 시공사로 참여하는 동시에 시행 일부도 맡은 셈이다.

한스자람은 단국대 부지를 경남은행에 담보로 맡겨놓고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통해 4000억원의 사업비용을 조달했다.

이 중 3318억원을 단국대로부터 부지를 사들이는 데 썼다.

지급보증은 금호건설이 했다.

사업진행이 늦어질수록 금호산업이 부담할 금융비용도 불어난다.

단국대 부지 개발은 포스코와 대우건설까지 욕심냈던 사업이지만 지금은 금호건설엔 '계륵'같은 존재다.

이연구 금호건설 사장은 "오는 5~6월에 분양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일정을 제대로 맞출지 의문이다.

한편 한스자람은 용산구청을 상대로 사업승인 신청 반려를 취소해달라는 행정소송을 제기해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