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사정부에 대한 서방세계의 제재조치가 강화된 이후 경제가 파탄 위기에 처해 대규모 소요 사태가 또다시 발생할 우려가 높아졌다고 AFP통신이 30일 보도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호주 등은 미얀마 군정이 지난 9월말 반정부 시위에 대한 강경진압으로 유혈사태가 발생하자 목재와 보석광물의 수입금지 조치를 추가로 취하는 등 제재조치를 강화한 이후 기업은 적자 경영에 허덕이고 생필품 가격이 급등해 경제가 파탄의 위기에 처해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기업인은 "(서방세계의) 경제제재 조치가 가장 큰 문제다.

정부가 고통을 받으면 우리 기업도 마찬가지이며, 결국은 근로자들도 고통을 받게 된다"고 말했다.

미얀마 공장 근로자의 평균 월급은 3만 차트(24달러), 하위직 공무원은 2만5천 차트(20달러)에 불과한 반면 미얀마 국민의 주식인 카레밥 한 그릇은 500차트(40센트)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다른 기업인은 "국가 경제는 정치상황에 좌우된다.

근로자들을 해고할 수 없기 때문에 적자를 감수하고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내년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지 말할 수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특히 미얀마의 관광산업은 파산 상태다.

한 여행업자는 "관광객들은 정치에 관심이 없으나 안전문제는 크게 우려한다.

누가 생명을 무릅쓰고 여행하려 하겠느냐"며 "유혈사태 이후 관광객이 급감했다"고 말했다.

호주 매쿼리대학의 미얀마 경제 전문가인 숀 터넬 교수는 미얀마 유혈사태 이후 관광업은 "완전히 무너졌다"며 "관광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거의 한푼도 벌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미얀마는 천연가스 등 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1인당 연간 국내총생산이 239달러에 불과해 세계 최빈국 가운데 하나로 전락했으며, 올해 인플레이션 상승률은 무려 36.9%에 달하고 있다.

미얀마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 유엔 직원은 "지난 8~9월에 발생한 미얀마 시민의 반정부 시위는 국민 고통이 임계점에 달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경제 파탄으로 더 많은 시민이 거리로 뛰쳐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터넬 교수도 "버마(미얀마의 옛 이름)의 시민들이 아직도 분노를 삭이지 못하고 있다"며 "시민들이 경제 파탄으로 더 이상 잃을 게 없다는 느끼게 되면 언제든지 대규모 소요 사태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방콕연합뉴스) 전성옥 특파원 sung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