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제2신도시 등 10곳의 수도권 2기 신도시가 상당부분 강남 대체 효과가 떨어져 자칫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도시 분양물량이 큰 만큼 공급이 본격화되는 2009년 이후 수요가 부족할 경우 '집단 미분양' 사태가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에 대해 정부는 최근 청약이 끝난 동탄 메타폴리스의 청약자 분석 결과를 근거로 "강남 대체 효과가 뚜렷하다"며 진화에 나서고 있지만,강남 대체 효과를 입증하기에는 궁색한 주장이어서 앞으로 2기 신도시 역할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7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10개 신도시에서 공급되는 주택은 올해 1만7581가구를 비롯해 △2008년 3만6468가구 △2009년 9만5851가구 △2010년 16만2747가구 △2011년 이후 21만2376가구 등 총 52만5023가구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집값 안정을 위해서는 충분한 물량이지만 수요가 있는 곳에 주택을 공급한다는 '적재적소' 효과가 떨어져 강남 대체 효과는 고사하고 분양이 성공될 수 있을지 장담하기조차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예컨대 동탄제2신도시는 서울과 40㎞ 이상 떨어져 있어 강남 수요뿐 아니라 서울 거주자의 상당수가 외면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송파신도시 역시 전체 물량의 절반이 임대주택으로 채워져 강남 거주자들의 매력을 끌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장성수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실장은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2기 신도시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품질의 아파트가 대규모로 쏟아져 나올 수밖에 없다"며 "지리적으로도 먼 수도권 신도시에 강남 수요가 찾아갈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정부는 동탄 주상복합 메타폴리스의 청약 결과를 들어 강남 대체 효과가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건교부는 "메타폴리스의 일반분양 물량 1229가구의 분양신청자 2만4000가구 중 서울 출신이 20%에 해당하는 4900명으로,이는 분양물량의 4배에 달한다"며 "향후 고속도로·전철 등이 신설되면 강남 수요를 상당부분 흡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청약자의 20%가 서울사람이라는 통계 수치를 근거로 강남 대체 효과를 운운하는 것은 근거가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20% 정도의 서울 사람이 몰린 이유도 입주 후 전매가 가능한 데다 40~50평형대 이상의 고급 주상복합이어서 투자수요가 몰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