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강 유니온스틸 동부제강은 노사 분규 무풍지대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들은 10년 이상 노사 평화의 빛나는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동국제강과 유니온스틸은 올해 노사협상도 지난 3월 일찌감치 끝내버렸다.

각각 13년,12년 연속 무분규 타결이다.

동부제강도 지난 10일 11년째 무분규로 올해 노사협상을 매듭지었다.

3개사 모두 노조가 협상을 회사측에 위임한 무교섭 타결이다.

이들 3개사도 과거 노사분규의 진통이 없지 않았다.

강성 노조의 이름 아래 장기간 파업에다 공장라인을 세우는 조업 중단이 예사였고 때론 폭력으로 얼룩졌다.

보다 못한 회장이 눈물을 보였는가 하면 거래선 대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아픔을 맛봐야 했다.

이들 3개사가 무분규를 이끌어낸 계기와 무분규 전통을 유지하는 비결은 무엇일까.

공멸의 벼랑 끝에서 택한 상생

동국제강은 1980년 주력인 부산 용호동 공장이 파업사태를 겪어야 했다.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노사 간 구타와 방화,설비 손실까지 발생한 최악의 상황이었다.

고 장상태 회장은 눈물로 파업 자제를 호소했다.

1991년에는 10일간의 준법파업에 휘말렸다.

그러나 서로를 벼랑으로 내모는 극한 대립은 더 이상 실익이 없다는 점에 공감,1994년 노조가 항구적 무파업을 선언했다.

동국제강 계열인 유니온스틸도 마찬가지.1980년대 후반 동국제강의 유니온스틸(당시 연합철강) 인수를 둘러싸고 사무직이 먼저 파업의 깃발을 드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당시 연합철강은 307일간 조업이 중단됐다.

그 여파로 회사 위상은 바닥에 추락했고 대부분의 거래선이 떨어져 나갔다.

노조는 "매년 이대로 가다가 노사 모두 죽는다"면서 1994년 임금협상을 회사측에 백지위임했다.

동부제강은 1990년 초 강성 노조가 주축이 된 파업으로 인해 조업이 중단된 것은 물론 연간 노사교섭 일수가 평균 110일에 이를 정도로 노사 대립이 극심했다.

경영진이 정상적인 경영활동에 전념할 수 없을 정도로 투쟁 일변도의 노사관계였다.

하지만 1조3000억원에 달하는 충남 아산만공장 투자에 직면하면서 노사 상생을 선택하는 지혜를 발휘했다.

신뢰가 신뢰를 낳아 무분규 정착

이강춘 동국제강 노조사무국장은 "항구적 무파업 선언 직후 다른 기업 사업장들로부터 쏟아지는 어용노조라는 비난을 견디기 힘들었으나 노사가 맞서지 말고 회사의 성장과 실익이라는 한 방향을 보자면서 이를 극복했다"고 전했다.

회사의 성장과 실익이 노조원의 성장과 실익이라고 일체감과 신뢰를 형성했다는 설명이다.

동국제강 사측에서는 답례로 사원아파트를 마련해 주는 등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사원복지 혜택을 부여했다.

현재는 매월 임원단 회의인 '책임경영회의'에 노조위원장을 참여시켜 회사의 주요 경영 안건에 노조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

유니온스틸 역시 분기별 '오픈 미팅(Open Meeting)'을 실시,경영정보를 공유하는 등 화답하고 있다.

동부제강은 '가사불이(家社不二)'라는 기업정신을 만들어 노사신뢰 관계와 화합을 유지하고 있다.

1995년 노조가 무파업 무재해 무결함의 3무(無) 운동을 결의하면서 서로 믿는 노사관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노조는 이어 1996년 항구적 무파업을 결의했다.

대전제는 '가사불이(家社不二)'였다.

직장이 곧 노조원의 가정이라는 독특한 신노사문화를 조성했다.

사측에서는 노조를 전담하는 1명의 총괄 임원을 두는 '공장 총괄 임원 제도'를 도입했다.

노사가 언제나 대화할 수 있는 창구를 개설해 열린경영,투명경영을 실행하고 있는 것이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