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에서 임신, 출산, 자녀양육에 이르기까지 지방자치단체들이 단계별로 다양한 출산지원대책들을 시행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18일 펴낸 `2006년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시책 사례집'을 보면 지자체들이 한 명이라도 더 지역주민으로 확보하기 위해 얼마나 안간힘을 쓰는지 잘 드러나 있다.

이 사례집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1.08'의 출산율 충격으로 정부가 종합대책을 마련하느라 골머리를 앓고 있는 가운데 지자체 차원에서는 저출산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고 있는지 보여주고 있어 관심을 모은다.

이 사례집은 국가 지원금이나 각종 기금을 재원으로 실시하는 출산지원 사업은 제외하고 지자체 자체 예산만으로 수행하고 있는 출산지원 시책을 담고 있다.

먼저 결혼단계에서 전남 완도군과 해남군은 농촌총각 장가 보내기 일환으로 맞선보기와 국제결혼을 주선하고 나아가 결혼비용까지 지원하고 있다.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지원사업은 기본이다.

대구 달서구 등 64개 시.군.구에서는 풍진, 기형아, 갑상선, 초음파, 당뇨, 간염, 혈액 검사 등의 검진비용을 지원하고 있고, 경기도 군포시 등 159개 지자체에서는 철분제와 영양제 등을 지급하고 있다.

강원도 강릉시 등 3개 시.군.구는 출산을 원하는 부부를 위해 정.난관 복원수술비를 주고 있다.

출산단계에서의 지원대책도 다채롭다.

전북 순창군과 인천 강화군 등 33개 시.군.구에서는 모든 신생아를 대상으로 출생순위별로 최저 5만원에서 최고 300만원의 출산 지원금을 지원하고 있다.

서울 중구 등 71개 시.군.구는 체온계, 내의, 물티슈, 목욕용품, 앨범 등의 출산용품을 지급하고 있고, 광주 남구 등 35개 지자체는 아기탄생 및 결혼축하 엽서를 보내주고 있다.

신생아를 위해 수두나 독감 등을 무료 예방접종 해주거나 신생아 보험을 들어주는 지자체들도 있다.

충북 충주 등 25개 시.군.구는 가정 도우미나 보육 도우미를 보내 산모의 산후조리를 돕고 있다.

부산광역시 등 32개 시.군.구에서는 둘째아부터 월 10만원 이상의 보육료를 지원하고 있다.

이밖에 모유수유와 아기 마사지, 임산부 기체조, 태교교실 등의 모자 건강교실 및 임산부 건강교실을 운영하거나 세자녀 이상을 낳자는 뜻에서 다복왕 선발대회를 개최하는 곳도 있다.

복지부 출산지원팀 김혜선 팀장은 "지자체들이 출산지원대책과 관련한 각자의 정보와 경험을 교류해 효율적인 저출산 극복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사례집을 발간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s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