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개발부담금 부과 등을 골자로 한 정부의 3.30대책으로 서울 강남권 재건축 시장이 빠르게 안정되고 있다. 아직 급매물이 나오진 않고 있지만 매수, 매도자가 모두 관망세로 접어들며 가격도 상승세를 멈췄다. 3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송파구 잠실동, 강동구 고덕동, 서초구 잠원동 등 강남권 주요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일제히 오름세를 멈췄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단지를 거래하는 남도공인 이창훈 사장은 "조합원들은 개발부담금 부과에 불만을 표시하며 매물을 내놔야 할 지 망설이는 분위기"라며 "매수자들도 일단 지켜보자는 입장이어서 당분간 약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달 초 예비안전진단 탈락에도 강세를 보이던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도 보합세로 접어들었다. 송파구 송파공인 최명섭 사장은 "며칠 눈치작전을 벌인 후 급한 사람은 매물을 내놓고 가격도 당분간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투기지역내 6억원 이상 주택 대출 축소 방침도 투자수요 감소로 가격을 다소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강남권 아파트는 20평형 이상이면 대부분 시가가 6억원을 넘기 때문이다. 서초구 잠원동 양지공인 이덕원 사장은 "현재 강남권 주택 구입자의 80-90%가 대출을 끼고 산다"며 "지난해 8.31대책 때 담보인정비율을 낮췄을 때보다 가격 안정효과가 클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6월부터 주택거래신고 내역에 자금출처를 명시하게 한 부분도 투자심리를 다소 위축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번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지는 의문을 표시하는 사람들이 많다. 강남구 대치동 H공인 사장은 "개발부담금은 이미 예고된 것이고, 주민들은 재건축 관련 규제가 풀릴 때까지 재건축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라며 "특히 규제에서 제외된 분양권이나 일반 아파트는 상대적인 강세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북 뉴타운 지역은 이번 3.30대책의 내용이 올 7월에 시행될 도시재정비촉진특별법을 그대로 따온 것이어서 아직 큰 반향은 없는 분위기다. 하지만 재정비 촉진지구 시범지구 지정이 가시화되면 가격도 오를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마포구 염리동 스카이공인중개사 권순형 사장은 "강남 재건축에서 빠진 자금이 일부 촉진지구 쪽으로 옮겨올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특별법상 토지거래허가 대상이 9평으로 확정될 경우 거래가 위축되고, 가격 상승효과도 반감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s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