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8월에 비해 2.0% 오르는 데 그쳤다.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로만 따지면 5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라고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지금이 결코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올해 물가상승률이 지난해 워낙 많이 올랐던 물가를 기준으로 산출해 상대적으로 낮아진 데다, 내수(內需)시장 장기침체에 따른 수요부진으로 물가를 끌어 올릴 만한 힘도 크게 둔화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천정부지(天井不知)로 치솟는 국제유가를 보면 언제 물가가 폭발할지 모르는 상황이다. 선진국들은 이미 에너지부문을 중심으로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며 인플레이션 영향권에 들어섰다고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들의 지난 1년간 에너지품목 가격이 10% 이상 상승했고, 이에 따라 영국의 7월 소비자물가가 8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국가들이 높은 물가로 인해 경기위축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도 전체적으로는 안정됐다고 하지만 석유류의 경우 지난달 물가지수가 8.1% 상승하는 등 지속적인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내수경기가 조금만 꿈틀거려도 다른 품목으로의 물가 불안 확산은 불가피해 보인다. 물가동향을 계속 예의주시해야 하는 이유다. 더구나 지금의 물가불안 우려는 소비증가로 인한 수급불안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값 상승 등 비용증가에 기인한다는 점에서 더욱 걱정이다. 말하자면 경기침체 속에 인플레가 가속화되는 이른바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을 보일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지난 7월 신차 효과 등으로 내수소비가 다소 늘어나는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 이런 분위기를 살려나가기 위해서도 물가안정은 절대적인 전제조건이다. 따라서 정부는 국제유가 상승이 국내 소비자 물가에 전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어제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고 추석(秋夕) 전후 수급불안으로 인한 물가상승 대책을 발표하기도 했지만 여기서 그쳐서는 안된다. 향후 고유가 지속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물가불안에 대해서도 다각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엊그제 발표된 부동산 종합대책이 자칫 돈의 흐름을 막아 소비심리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도 앞으로 금리운용 등 정책 하나하나에 더욱 세심한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