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아파트의 전매가 10년이나 금지돼 투자매력이 줄어서 그런지 그동안 전혀 없던 문의가 간간이 옵니다" 경기도 용인 성복동의 포인트부동산 관계자의 말이다. 당정이 판교신도시에 대해 10년간 전매금지, 중대형아파트 원가연동제-채권입찰제 적용 등의 공급방안을 내놓으면서 판교의 청약과열을 잠재울 것으로 기대되지만 주변 집값의 상승은 오히려 부추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7일 일선 중개업소들에 따르면 판교신도시 아파트를 10년간 팔지 못하고 중대형아파트 분양가가 원가연동제로 낮아지지만 채권 매입으로 소비자들이 느끼는 부담은 당초 안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오히려 투자자들의 관심이 분당과 용인 등 주변 지역에 다시 쏠릴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분당 정자동 제일공인 관계자는 "아직까지 별다른 분위기 변화는 없지만 판교 아파트의 메리트가 많이 없어졌기 때문에 분당으로 대체 수요가 몰려 가격이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야탑동 부원공인 관계자도 "중대형은 그동안 많이 올라 상승여력이 적겠지만 그동안 오름폭이 적었던 중소형 위주로 가격이 오를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판교신도시 내 중대형아파트를 2천600여가구 늘리기로 했지만 시장 수요에는 크게 부족해 집값 안정에는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야탑동 디딤돌공인 관계자는 "이 정도 물량으로는 영향을 주기 힘들다"고 말했다. 특히 기존 아파트 가격은 워낙 많이 올라있기 때문에 판교 청약대기자들이 용인 등 주변지역의 신규 분양물량으로 몰릴 가능성이 크고 이는 주변 집값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용인 신봉동 허브공인 관계자는 "성복동과 신봉동에 하반기에 분양할 아파트가 많은데 분양가가 평당 1천300만원 이상은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주변 집값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달 말에 발표될 대책에는 판교신도시 공급방안 외에 세제와 공급확대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어서 판교로 인한 상승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 인다. 분당 서현동 우리공인 관계자는 "판교만 놓고보면 오히려 분당 집값을 올릴 수도 있겠지만 보유세 및 양도세 인상 등 다른 대책들의 위력이 더 커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RE멤버스 고종완 대표는 "판교신도시 공급방안 변경만으로 분당과 용인 등 주변 아파트 가격을 잡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과감한 공급확대 방안 등 다른 대책을 면밀히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transi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