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경제의 성장 속도는 차이가 크다. 한국은 올해 4% 안팎 성장이 예상되는 반면 중국은 9% 성장이 점쳐지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정부가 강력한 투기 억제에 나서고 있는 것은 닮은 꼴이다. 중국의 부동산 거품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외국인들까지 가세한 투기 수요가 컸던 게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거품의 공모자(?)가 적지 않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개발사업자,중개업자,경제학자,언론,정부가 공모자로 지목되고 있다. "지난해부터 개발사업자들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중개업자와 공모해 본격적으로 가격을 끌어 올리기 시작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은 진단했다. 지난 3월 상하이 시정부의 단속에서 실제의 15배 수준인 ㎡당 11만위안(약 1375만원)으로 허위 작성한 계약서도 적발됐다. 경제학자 가운데 "거품은 절대 없다. 최소 20년 이상은 번영한다"는 주장을 펴온 이들이 적지 않다. 일부 언론 매체도 가세했다. 중국 주요 일간지 광고의 70~80%가 분양광고로 채워지고 있다. 정부도 거품 조성 공모 혐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각 지방정부는 두 번째로 큰 세수원인 토지 사용권 및 판매 수익을 위해 개발사업자의 가격 결정이나 외지인의 투자에 제한을 두지 않는 등 거품 형성에 일조했다. 또 중앙정부는 지난해 긴축조치를 통해 토지개발을 거의 중단시킴으로써 공급 부족에 의한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올 1분기 상품방(분양 주택) 준공 면적은 판매 면적의 73% 수준으로 처음으로 역전됐다. 그렇다면 지난 6월 시행에 들어간 중앙정부의 부동산 투기 억제책을 이들 공모자들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국가통계국이 개발사업자를 상대로 최근 실시한 조사에서 34%는 보합세,15%는 가격 하락을 점쳤다. 중국의 내로라 하는 경제학자 60여명에게 향후 6개월간의 가격 동향을 묻는 설문에서도 21%만이 가격 상승을 점쳤다. 1분기 조사 때의 52%에서 31%포인트 급감한 것이다. 실제 올 2분기 부동산가격 상승률은 8%로 1분기에 비해 1.8%포인트 둔화됐다. 거품이 심했던 상하이 푸둥지구에서 2개월 전 ㎡당 1만3000위안(약 162만5000원) 하던 한 아파트 가격은 최근 9000위안(약 112만5000원)으로 떨어졌다. 적어도 중국에서는 정부의 투기 억제책이 곧바로 시장에 먹혀들고 있는 셈이다. 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