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부동산 가격 폭등사태를 현정부의 대표적 정책 실패 사례로 규정하고, 정책야당 입장에서 대안 마련에 착수했다. 한나라당은 22일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부동산대책특위 발족과 함께 첫 회의를 열고 부동산 전반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부동산 문제가 서민의 가슴에 바로 와닿는 문제라는 점에서 이번 기회를 통해 달라진 정책 정당의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것이 한나라당의 목표. 이 때문에 첫날 회의부터 당내 경제통 의원들과 외부 인사로 구성된 특위에서는 세금을 통한 부동산 규제에 대한 정부 비판에서부터 재건축 규제 완화, 강북개발 활성화, 강남 중.대형 아파트 공급 확대를 비롯한 다양한 정책대안이 쏟아져 나왔다. 특위 위원으로 참여한 최경환(崔炅煥) 의원은 회의에 앞서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 정부가 하듯이 세금정책으로는 안된다"면서 "분양가 거품을 없애는데 논의의 초점이 모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 서초가 지역구인 이혜훈(李惠薰) 제4정조위원장도 "세금정책을 고쳐야 될 게 있다"면서 "강남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는 것은 고급주택, 중대형 평형에 대한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인위적으로 시장의 공급을 막는 것은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내 건설통인 김양수(金陽秀) 의원은 "집 값을 잡는 정책과 함께 땅 값을 잡는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그렇지 않을 경우 투기자금이 땅으로 옮겨 갈 것"이라고 전반적 부동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당내 경제통 의원들과 외부 인사로 구성된 특위는 앞으로 1주일에 2회씩 회의를 거듭하며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인 8월 중순까지 대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하지만 최대 핵심 쟁점 중 하나인 분양원가 공개 여부는 최종 결론에 이르기까지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분양원가 공개 추진"이라는 정책조정위 입장 발표에 대해 박근혜 대표가 나서 "전면 공개는 당론이 아니다"고 부인했고, 이후 강재섭(姜在涉) 원내대표가 "분양원가 공개는 반(反)시장적이 아니다"고 주장하는 혼란을 빚어왔다. 이에 대해 최경환 의원은 "분양원가 공개는 결국 과거의 규제체제로 돌아가자는 것"이라면서 "다른 보완책을 써야 한다"고 반대입장을 분명히 한 반면, 이번 6월 국회에서 분양원가 공개를 강력히 주장한 김양수 의원을 비롯한 일부는 "과거와 같은 규제가 아니다"고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에 이혜훈 제4정조위원장은 "분양원가까지 어려우면 택지비 정도에 대해 공개하는 문제는 전향적으로 봐야 한다"는 절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 김경희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