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문가들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선 중형 임대주택을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대주택이 서민들만 사는 곳이 아니라 중산층도 거주하는 곳이란 인식 전환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고철 주택산업연구원장은 "정부 예산이 좀더 들더라도 임대주택을 지금보다 크고 고급스럽게 지어야 한다"면서 "중산층이 많이 거주하도록 유도해 임대주택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 원장은 "지금 임대주택은 주로 소형인 데다 저소득층이 입주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도 환영하지 않고 있다"면서 "임대주택을 짓는 건설업체도 일정 수익을 낼 수 있도록 당분간 정부지원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고 지적했다. 국토연구원의 김근용 박사는 "민간업체들이 중형 임대주택을 많이 짓도록 유도하더라도 사업성이 없으면 충분한 공급이 이뤄지기 힘들다"면서 "정부가 국민주택기금 등을 통해 직접 지원하는 방법에 문제가 있다면,리츠 부동산펀드 등의 민간자금이 중형 임대주택 사업쪽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물꼬를 터주는 방법을 강구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신영 주택도시연구원 연구위원은 "홍콩의 경우 전체 가구수의 30%를 차지하는 임대주택에 전 계층이 모두 거주하고 있다"면서 "공공임대 주택을 입지가 뛰어난 곳에 지은 다음 전 계층이 어울려 살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행수 주택공사 사장은 "임대주택의 수준을 크게 높여 사회 지도층 인사들이 많이 거주하게 만들어야 일반 국민의 인식을 바꿀 수 있다"고 조언했다. 조주현 건국대 교수는 "중형 임대주택에 대한 수요는 충분하다고 본다"면서 "하지만 정부에서 2012년 100만가구 임대주택 건설이란 (과도한) 목표에 너무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중형 임대주택 사업을 하면 분양 때보다 부채비율 상승 등 리스크가 너무 커지게 된다"면서 "이 때문에 우량 건설사 대신 영세업체들만이 임대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만큼 연기금 등의 장기자금이 이 분야로 투입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재석 전국임대아파트연합회장은 "임대아파트가 부도나지 않도록 정부에서 택지조성부터 관리까지 모두 책임지는 공영개발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