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에 오랜 관행으로 굳어진 기업별 노조가배타적이고 회사 의존도가 높아지는 등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노동연구원 김정한 연구위원은 6일『노동리뷰』3월호에 실린 `기업별 노조의 구조와 한계'라는 보고서에서 "기업별 노조는 지난 50여년간 형성되고 고착돼 온 국내노조의 굳은 조직형태"라며 "산별노조나 일반노조에 비해 배타적이고 폐쇄적"이라고지적했다. 김 위원은 "국내 노조 중 조합원 1천명 이상인 노조는 전체의 2.7%에 지나지 않지만 조합원수 비중은 61.6%나 되는 반면 100인 미만인 노조는 전체의 66.5%인데도전체 조합원수의 8.7%에 불과하다"며 "대부분 노조의 조직 규모가 영세성과 파편화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노조의 영세성은 전임자 임금은 물론 노조 사무실, 차량 편의 등을 사용자로부터 지원받는 `회사 의존형' 노조를 만들게 된다"며 "2007년부터 노조 전임자임금이 전면 금지될 경우 노동운동이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지난해 8월 기준으로 임시직과 일용직 등 비정규직의 조합원 비중은각각 전체의 1.5%와 0.4%로, 무노조를 제외한 상용직 22.5%에 훨씬 못미쳤다"며 "이는 정규직 노조와 비정규직 노조간 갈등과 노동운동내 분열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기업별 노조의 산별노조 전환을 해마다 정책 목표로 내세우고 있으나 두 노총 모두 산별노조 조직률은 20∼30%에 지나지 않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한승호 기자 h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