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매물은 사라지고 매수세가 조금씩 살아나고 있습니다.그러나 호가 차이가 커 거래는 잘 되지 않고 있습니다." 여야가 신행정수도 후보지였던 충남 연기·공주지역 예정부지 2천2백만여평을 연말부터 매입키로 결정한 것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주변의 수혜지역 토지시장이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신행정수도특별법에 대한 위헌 결정 이후 속출했던 급매물을 지금은 찾아볼 수 없다. 연기군 조치원읍 코리아공인 이한철 사장은 "위헌 결정의 충격이 가시면서 새해 들어 시장이 차츰 살아나는 분위기"라며 "다음달에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이 공식 발표되면 상황이 더욱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급매물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연기·공주 인근 지역 토지시장에는 최근들어 새로운 매수세도 조금씩 유입되고 있다. 충북 청원군 현도면 현도공인 이병택 사장은 "소형 평수 대지나 공장부지 위주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며 "관리지역 공장부지로 가능한 땅은 평당 15만원,대지는 평당 20만원 수준에 호가가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거래는 아직 활기를 띠지 못하고 있다. 거래 건수를 쉽게 찾아볼 수 없다는게 현지 중개업계의 설명이다. 매수자들은 급매물을 찾고 있는 반면 매도자는 기대심리로 호가를 낮추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조치원읍 대산공인 이세영 사장은 "급매물은 모두 사라졌는데 아직 매매는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는다"면서 "일부에서는 대안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품고 있어 다음달에 후속대책이 최종 확정된 뒤에야 구체적인 움직임이 있을 것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조치원읍 K공인 관계자도 "외지에서 문의가 늘고 있지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등 규제가 여전하고 가격도 거의 위헌 결정 이전 수준으로 형성되고 있어 거래는 잘 이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연기·공주지구와 인접한 대전 노은지구에서도 그동안의 폭락세가 진정되고 있다. 노은지구 한마음공인 관계자는 "작년 말부터 아파트와 토지 모두 시세가 회복 국면에 들어갔다"면서 "다만 투기꾼이 아닌 실수요자들이 주로 매물을 찾고 있다는 점이 예전과 다르다"고 전했다. 하지만 청양 부여 등 투기열풍에 힘입어 별 호재없이 덩달아 값이 뛰었던 지역에서는 위헌 결정 이후 폭락한 시세가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