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전 서울시 기자실에 급한 브리핑 공고가 붙었다. 제목은 '수도이전 반대 헌법소원 관련설명'.수도이전반대국민연합(이하 국민연합)이 정부의 행정수도이전 추진절차에 문제가 있다며 헌법소원을 제기키로 한 것에 대해 서울시가 입장을 밝히는 자리였다. 그러나 정작 이날 브리핑에서는 서울시 입장을 찾아볼 수 없었다. "헌법재판소 판례에 따라 서울시는 헌법소원 소송 당사자가 될 수 없으며 시정개발연구원에 의뢰해 대응논리를 연구중"이라는 게 브리핑 내용의 골자였다. 오히려 서울시는 국민연합의 입장을 전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앞으로 국민연합이 변호사 학자 등과 논의를 거쳐 헌법소원 제기 여부 및 시기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 때문인지 자료 발표후 수도이전에 대한 서울시의 입장이 무엇이냐는 기자들 질문에 "서울시는 직접 당사자가 아니며 시정개발연구원 연구를 통해 문제점을 지적하겠다"는 대답만 반복하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브리핑이 끝날 무렵 서울시는 '마지못해' 속내를 일부 드러냈다. "시정개발연구원의 연구를 통해 수도권 이전이 무익하다는 논리를 제공하겠다." "올해 수도이전부지가 확정되더라도 2012년에 가서야 중앙행정기관 이주가 시작된다. 일정이 예정대로 진행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올해로 지방자치제가 시행된 지 꼭 10년째다. "공동체 이익을 위해서는 중앙 정부의 눈치를 보지않고 소신껏 할 일을 할 수 있다"는 게 지자체의 장점중 하나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나라 최대 지자체인 서울시는 국가발전이라는 대승적인 차원에서 중앙정부와 다른 의견이 있다면 당당히 밝히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 뒤에서 반대 논리만 개발하다가는 자칫 수도이전문제에 딴지만 건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될 지도 모를 일이다. 김철수 사회부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