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未입주 새 아파트 급증] 건설업계 자금압박에 비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도권의 광범위한 '빈 아파트' 사태로 주택업체들이 심각한 자금난에 빠질 조짐이다.
자금 순환이 가장 중요한 건설업계의 특성상 잔금 연체는 치명적이다.
업계에서는 벌써부터 'A사가 명동 사채시장에서 2천억원을 끌어다 썼다'느니 'B사는 C단지에서 1천억원이 물렸다'는 등의 소문이 나돌고 있다.
1천가구 규모 단지의 평균 분양가가 2억원(잔금 20%)이라고 가정하고 만약 절반이 입주하지 않는다면 미수 잔금은 2백억원(4천만원×5백가구)에 달한다.
중도금 대출을 알선했을 경우 연대보증으로 떠안게 되는 빚은 1천억원을 훌쩍 넘는다.
만약 미분양 단지가 2~3개에 이르면 미수 잔금 및 중도금 규모는 수천억원에 달하게 된다.
물론 상당기간 잔금을 치르지 않으면 건설업체들은 계약을 해지하고 아파트를 임의로 처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계약자 대신 중도금을 은행에 갚아야 하기 때문에 건설업체의 자금 부담은 더욱 커진다.
계약자들이 은행에서 무이자로 중도금을 대출받을 때 대부분 건설업체들이 연대보증을 서기 때문이다.
또 분양계약 해지에 반발해 계약자들이 건설업체를 상대로 이의를 제기하는 소송을 낼 경우 반드시 이긴다는 보장이 없다.
이미 중도금까지 완납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부동산경기 침체로 재분양을 하더라도 팔리지도 않는다.
결국 업체들은 속만 태우며 잔금을 받기 위해 대안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한 중견 건설업체 관계자는 "분양할 때만 해도 없어서 못팔 정도였는데 정말 '격세지감'을 느낀다"며 "분양 당시 시행사의 부지 매입에 지급보증을 선 것까지 감안하면 그야말로 벼랑 끝에 선 기분"이라고 하소연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