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확산 방지를 위해 아시아 각국이 비상대책을 마련하며 공동전선을 형성하고 있지만 국가별 경제수준이 달라 공동대응의효과가 저감될 우려가 크다. 지난 97년 조류독감 바이러스인 H5N1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됐던 홍콩은 조류독감이 인체로 확산, 전염병으로 퍼질 것에 대비해 독감 치료약의 재고량을 점검하고있다. 홍콩 당국은 또 조류독감 감염 환자가 발생할 경우 이들 치료에 전념할 수 있도록 긴급하지 않은 수술은 모두 중단토록 할 방침이다. 모든 종류의 독감 치료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경구용 치료약 `타미플루'를 대량 보유하고 있는 일본 역시 이 약품의 재고가 충분한 지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고 정부 관계자가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이와 함께 조류독감이 인체에 퍼지는 `재앙'에 대비해 특별위원회를 이미 구성해 놓았고 글로리아 아로요 필리핀 대통령도 조류독감 발병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고위급 비상대책반을 발족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본은 특히 이달 들어 10만정의 타미플루를 구입할 수 있도록 2천만달러를 베트남에 무상 지원했으며 아시아개발은행(ADB)는 4일 21만달러를 베트남에 원조하기로 약속했다. 홍콩 역시 베트남에 전문가와 의료진을 파견하겠다고 밝히는 등 조류독감 위험국을 적극적으로 돕고 나섰다. 그러나 나라마다 경제수준이 달라 빈곤국의 경우 선진국과 같은 수준의 안전지침을 설정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중국내 조류독감 방지팀 대변인인 로이 와디아는 "중국처럼 빈곤국은 문제가 커지기 전에 발병 사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강력한 감시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와디아는 "제 때 통제되지 않을 경우 널리 퍼져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류독감이 가장 심각한 나라 가운데 하나인 베트남의 경우도 일본, 홍콩 등 다른 국가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이 질병에 대응하기 위한 자금과 의약품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중국 농업부 류젠(劉堅) 부부장은 4일 기자회견을 갖고 조류독감 퇴치에자신감을 보이면서도 "동물 질병 예방체계가 일부 취약하고 대중이 이 질병과 그 예방법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한다"고 실토했다. (홍콩.베이징 AP.AFP=연합뉴스) economan@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