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위탁을 받아 학문분야별 대학평가 업무를 대행하고 있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대해,올해 평가대상인 경제학·물리학·문헌정보학 교수들이 평가방식 개선을 주장하며 평가받기를 거부하고 나섰다고 한다. 이들은 현행 상대평가 방식이 대학간 서열화를 심화시키고 있고,분야별 특성을 무시하고 평가대상 대학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는 점 등을 들어 반발하고 있다. 대학평가 목적이 비능률적이고 비생산적인 대학교육을 개혁하자는데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사태는 결코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우선 대학의 서열화를 조장한다는 이유만으로 상대평가를 반대하는 건 설득력이 없다. 교육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해선 물론이고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도 대학간 경쟁촉진은 불가피하다. 세계화 시대에 우리 대학들의 경쟁상대는 해외의 우수대학들이라는 점을 직시하고, 교육시장 개방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상대평가를 기피해선 안될 것이다. 또한 분야별 대학평가는 학벌타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지방대학도 특정 분야에선 얼마든지 수도권 명문대학을 능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일이 필요하다. 그러자면 먼저 대학평가 결과가 권위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평가업무의 객관성과 공정성이 담보돼야 하며,행여 불합리한 대목이 있다면 이를 개선하는 걸 주저해선 안된다. 평가기관은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자체교육에 힘써야 하며 교육부는 현재 10여 종류가 넘는 대학평가를 과감하게 통폐합함으로써 대학의 재정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옳다. 그러나 교육부 직속으로 대학평가 기구를 설치하고 평가결과를 재정지원과 연계하겠다는 교육부 방침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평가업무의 객관성과 공정성만 담보되면 되지 평가기관이 굳이 정부산하 기관일 필요는 없다. 대학교육 개혁은 공정한 평가로부터 시작된다. 현행 대학평가에 문제가 있다면 이를 개선해야지 평가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