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3일 베이징(北京)에서 열리는 북한과 미국, 중국의 3자회담이 실제 회동에 들어가면 양자회담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각종 국제회담에 수년간 참석한 정부 당국자는 "회담이 3일동안 이뤄질 경우 미국과 북한의 막후교섭이 이뤄지고 심도있는 대화가 오갈 가능성이 높다"고 17일 말했다. 이 당국자는 공식 회담의 경우 전체회의를 비롯 수석대표 접촉, 실무대표 접촉, 심야회동 등 다양한 접촉이 이뤄지며 회담대표와 의제가 유동적으로 바뀐다는 점을 들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에 따라 미국과 북한이 직접 테이블에 마주 앉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양국의 최대 관심사인 핵개발 포기와 체제보장 문제에 대한 허심탄회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의 제임스 켈리 국무무 차관보와 북한 김계관 외무성 부상이 6개월만에 회동해 회담을 주도적으로 진행할 경우 회담장 제공자인 중국은 주최자로서 회담성공 분위기 조성 등에도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다자대화를 고집하던 미국이 내용상 양자구도로 흘러갈 것을 알면서도 3자회담을 수용한 것은 이라크전쟁과 경제악화 등 국내사정이 중요 변수로 작용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입장이 유연해졌다는 분석이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도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핵과 안전보장의 중심적 당사자는 북한과 미국"이라며 결국 양자회담이 문제 해결의 관건임을 암시한 바 있다. 윤영관(尹永寬) 외교부 장관도 16일 기자간담회에서 "당초부터 북핵문제 발생시 국민들이 미국과 북한이 테이블에 앉으라고 얘기했다. 양자회담을 해야 한다는 게 주조였다"고 발언했다. 이같은 미국과 북한의 양자회담 가능성은 1990년대말 개최됐던 4자회담 전례에서도 드러난다. 미국과 북한은 4자회담 전과 개최되는 중간에 수시로 북미 양자회동을 통해 의견을 조율했고 심지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본회담 전에 양국 대표단이 베를린에서 회동해 심도있는 논의를 주고 받았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중국이 3자회담에서 당사자인지, 중재자인지 북한에 대한 후견인인지 아직 알 수 없다" 며 "핵개발문제 등이 북미간 현안이기 때문에 양자합의사항에 대한 보증자로서 중국이 들어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khm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