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난 심화와 함께 여성, 고령자 등 취업 취약계층의 사회 유휴인력화 문제도 불거지고 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정부가 중점을 두고 추진했던 물량 위주의 실업대책 속에서 이들에 대한 관심은 뒷전으로 물러나 있었던게 사실이다. 여성의 경우 다양한 근로형태 확산 및 사회참여 욕구 증대로 경제활동인구가 지난 80년 5백41만명에서 지난해 9백32만명으로 72% 증가했다. 하지만 양적인 증가에 비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지난해말 현재 49.1%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채용시장에서의 차별로 이른바 '막다른 일자리(dead-end job)'를 선택하거나 취업을 포기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노동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현재 청년층(15∼29세) 여성의 유휴인력 비율은 31.8%(96만명)로 남성의 16.7%(36만9천명)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았다. 취약계층의 또 다른 축인 고령자 실업문제도 심각하다. 지난 2000년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율이 7%를 넘어서는 등 UN이 정한 고령화사회에 접어들었지만 60세 이상 고령자의 경제활동참여율이 38.9%에 머무는 등 고령 인력의 활용은 아직 미미한 편이다. 정부는 지난해 49.1%였던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오는 2007년까지 55%대로 끌어올리고 60세 이상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율도 50%대로 높일 방침이다. 여성 취업을 늘리기 위해 보육료의 절반을 국가가 지원하고 직장보육시설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임금피크제(특정한 시점부터 급여가 줄어드는 임금체계)를 도입해 근로자의 실질 정년을 늘리고 고령자에 대한 직업교육도 늘리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