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가 총장 간선제를 추진하게 된 것은 그동안 현행 총장 직선제에 대한 문제점이 끊임없이 제기돼온 데서 비롯됐다. 서울대는 지난 91년부터 총장 직선제를 도입했으나 선거 때마다 수개월간 캠퍼스가 선거운동 과열로 몸살을 치르는 등 극심한 선거 후유증에 시달려왔다. 또 선거과정에서 `총장후보선정위원회'가 단과대별 선거캠프로 전락, 중립성을 잃거나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단과대별 야합이나 지연.학연에 따른 줄서기 등의 양상이 일부 빚어지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끊이지 않았다. 이에 못지않게 교수 손으로 직접 뽑은 직선제 총장에 대한 실망도 적지 않았다. 91년부터 도입된 4명의 직선제 총장 모두 공교롭게 임기전 도중하차했기 때문이다. 특히 선우중호 전 총장과 이기준 전 총장 등 불명예 퇴진이 잇따르면서 `직선제총장이라 해서 나을 것 없다'는 자조와 함께 총장 직선제 자체가 도전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번에 학교측이 추진하는 간선제는 서울대 교수 50∼100명으로 이뤄진 상설 교수 대표기구인 `교수의회'나 `교수의회'가 위촉한 `총장선출위원회'가 후보자 2인을 선정, 교육부에 추천하는 방식이다. `총장선출위원회'는 외부 인사에도 개방될 소지가 있는 만큼 외부입김 우려 등 학내의 반발이 예상돼 간선제로 가더라도 서울대 교수사회로 구성된 교수의회에 총장 선출권이 일임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힐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그러나 어느 쪽이 됐든 총장선출 권한을 교육당국 산하 기관이 아닌 학내 기구에 부여한다는 점에서 교육부가 지난 2000년말 발표한 `국립대 발전계획안'의 권고안과는 다르다. 간선제 도입과 함께 총장 임기를 현행 단임 4년에서 연임이 가능한 6년으로 늘리면서 새로 설치될 `교수의회'에 총장 견제 기능을 부여한 것도 외부로부터의 자율성과 동시에 학내 민주성을 확보하자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1인2표제나 선거기간 장기화 등 현행 총장 직선제에 대한 문제제기가 많은 것은 사실이나 아직까지는 총장 직선제에 대한 고수 의견도 적지않아 학내 합의를 이끌어내기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서울대가 장기발전계획 최종안에 간선제 도입시기를 못박지 않기로 한 것도 이같은 사정을 감안했기 때문이다. 또 간선제에서의 총장선출기구가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해낼 수 있을지 여부도 미지수라는 우려섞인 지적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결국 서울대가 추진하는 총장 간선제가 기존 직선제의 문제점을 되풀이 하지 않고 안착하기 위해서는 총장선출기구의 충분한 대표성 확보 및 공정성 유지, 학내의 민주적 의견수렴 절차 정착 등이 관건이라는 지적이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