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발전산업노조가 파업에 들어간지 한달이 임박한 가운데 최종 복귀시한인 25일이 다가옴에 따라 파업이 중대 기로를 맞았다. 노사는 지난 13일 협상이 사실상 중단된 이후 23일 오후 협상테이블에 다시 앉아 철야협상을 시도했지만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측은 25일 오전 9시까지 복귀하지 않는 모든 조합원을 해임하겠다는 방침아래 전원 해임을 가정한 전력수급 대책을 세워놓고 있어 민영화에 대해 어느 한쪽이 양보하지 않는 한 분규는 최악의 상황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사측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현재 복귀의사를 표시한 노조원을 포함한 복귀인원은 1천742명으로 31.2%의 복귀율을 보이고 있어 25일까지 변화가 없을 경우 이미 해임됐거나 해임될 대상자는 4천명에 육박할 전망이다. ◇막판 협상 시도= 노사는 열흘만인 23일 다시 협상테이블에 마주 앉았다. 정부와 사측은 지난 13일 명동성당 천막협상 이후 결렬을 선언하고 21일 사장단기자회견을 통해 '25일 오전 9시'를 최종 복귀시한으로 통보한 이후에는 미동도 하지 않은 채 발전소의 안전운전에만 전념해왔다. 23일 접촉은 공개를 삼가한 채 철야협상으로 이어졌지만 결국 민영화를 놓고 넘을 수 없는 높은 벽만 재확인한 채 24일 오전 결렬된 것으로 전해졌다. ◇25일이 최대고비= 파업기간에 수차례 고비가 있었지만 복귀시한이 임박한 24∼25일은 파업이 끝나거나, 아니면 돌이키기 힘든 파국으로 접어드는 중대기로가 될것으로 사측은 보고 있다. 극적 타결을 보면 마무리로 접어들겠지만 25일 오전 9시까지 팽팽한 줄다리기만거듭할 경우 예고한대로 미복귀자에 대한 대량 해고사태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그러나 이번 파업이 월드컵과 양대선거 등을 앞두고 올해 노동계의 '대세'를 좌우할 수 있는 사안이라는 점을 감안, 어떠한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민영화불변', '무노무임' 방침은 결코 흔들림이 없을 것이라고 공언하고 있다. 특히 한달간 여러 고비를 넘으면서 '노조원 없이 1주일도 견딜 수 없을 것'이라는 전력대란 우려를 줄여나간데 이어 군 인력을 포함한 대체인력 투입과 확보를 통해 나름대로 자신감을 쌓아가고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결국 노조는 내부적으로 전략 수정을 통해 타협의 실마리를 찾지 못할 경우 미복귀자에 대한 대량 해고사태에 직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수급대책 마련= 정부는 최대전력수요가 발생하는 여름철에 대비한 전력수급계획을 25일 발표할 계획이다. 이는 조합원이 복귀하지 않는 상황을 감안해 짜졌다. 고장 또는 일정에 따른 정비와 관련, 가동하지 않는 발전기는 30기에 육박하고 설비용량으로는 모두 600만kW 안팎에 달한다. 이 가운데는 정비중인 영광3호기 등 원전도 포함돼 있다. 물론 전력 비수기인 3월에 계획정비가 많이 잡혀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지난달 25일 파업에 들어갈 때 17기에 불과했던 것이 늘어난 것이다. 기저부하를 담당하는 50만kW급의 삼천포화력 5호기는 지난달 24일 정비가 끝났지만 재가동의 기술적 어려움 때문에 세워놓고 있고 40만kW급 울산화력 5호기 역시정비 후에 한동안 가동을 못하다가 지난 23일 오후 재가동에 성공했다. 계획정비에 들어가야 했던 30만kW급 무주양수1호기가 계속 가동중이며 월성4호기도 당초 지난 16일 정기검사에 들어가야 했지만 일정을 4월1일로 연기해놓았다. 이처럼 발전소 운영은 정상은 아니지만 비수기이기 때문에 전력공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상황이다. 사측은 이때문에 추가 대체인력 확보를 위해 이미 100명의 경력직을 뽑은데 이어 군 인력 200명을 상대로 4주간의 일정으로 발전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신입사원공채도 추진중이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princ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