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朴槿惠) 의원의 한나라당 탈당으로 제3 신당 창당설이 정계개편론의 일환으로 재부상하고 있다. 박 의원의 탈당이 정계개편의 '뇌관'으로 작용, 여야의 틀을 뛰어넘는 제 세력간 이합집산과 합종연횡을 유발, 당초 한나라당과 민주당 후보간 양자대결로 예상돼온 연말 대선구도를 3자 이상의 다자대결 구도로 재편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최근 상도동 진영의 심상치 않은 기류, 여권 일각의 박근혜 탈당파장에 대한 부채질과 자민련의 군불때기, 박 의원의 신당 창당에 대한 관심 표명 등이 어우러져 제3당, 제3후보에 대한 정치권의 물밑논의가 한창이다. 한나라당 이재오(李在五) 총무도 3일 "박 의원의 탈당이 한나라당의 정권교체에 걸림돌이 될 정계개편의 계기가 되거나 인위적으로 한나라당을 흔들어 새로운 구도로 대선을 치르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며 "대선전에 반드시 제3당이 출현할 것으로 본다"고 공개 예상했다. 제3 신당 창당설은 영남.보수 신당설과 거대신당설로 대별된다. 거대신당설은 민주당의 사실상의 `와해'까지 상정한 것이다. ◇영남.보수신당설 = 박근혜 의원을 간판으로 민국당 김윤환(金潤煥) 대표, 박태준(朴泰俊) 이수성(李壽成) 전 총리, 무소속 정몽준(鄭夢準) 의원 등이 참여하는 신당설이다. 예상 참여자들의 면면상 `영남신당론'으로도 불린다. 김영삼(金泳三.YS) 전 대통령과 자민련 김종필(金鍾泌.JP) 총재의 막후 지원 또는 참여가 전제돼 있다. '양김'의 참여가 이뤄지면 YS 영향력하에 있는 김혁규(金爀珪) 경남지사, 한나라당내 일부 구민주계 세력의 이탈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박근혜-정몽준-김혁규의 '영남 트리오'가 앞장서고, 부산.경남과 충청권에서 일정한 영향을 유지하고 있는 YS-JP의 연대지원 형태가 되는 셈이다. 한 관계자는 3일 "특히 YS가 오는 9일 측근인 이원종(李源宗) 전 청와대 정무수석의 장남 결혼식에 참석하는 등 공개활동을 재개한 것은 의미있는 일로 봐야 한다"며 "조만간 YS와 JP가 재회동하고, 박근혜씨가 이들 양김과 만날 가능성도 있다"고전망했다. ◇거대신당설 = 여권 일각에선 6월 지방선거 이후 영남권을 뛰어넘는 제3의 거대 신당 출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분위기다. 영남신당, 보수신당만으론 명분이나 현실면에서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총재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정세판단이 바탕이 돼 있다. 박근혜 의원의 탈당을 계기로 활용한 것이지만, 반드시 박 의원을 중심에 놓지는 않는다. 민주당의 한 핵심의원은 "박근혜씨 탈당이 지방선거이후 `반(反) 이회창 연대'의 핵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민주당 한화갑, 한나라당 김덕룡, 무소속 정몽준 의원 등 개혁세력이 가세하면 여야에서 수십명씩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그렇게 되면 YS와 JP도 결국 합류할 수 밖에 없을 것이며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노골적으로 참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해 궁극적인 `3김 연대'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한나라당 관계자도 "민주당 대선 후보경선과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민주당 후보보다 제3신당 후보에 더 많은 관심이 쏠릴 수 있다"면서 "민주당 주력세력이 대거 빠져나가 박근혜 추종세력과 한나라당 일부, 상도동과 청구동 등과 연대, 새로운 거대정당을 만드는 구도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고 우려했다. ◇한계 = 그러나 이들 가설의 실현엔 여러 전제가 충족돼야 하는 허점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이회창-민주당 후보 진영이 강력 반발할 것이 뻔한데 `반(反) 이회창연대'라는 것외에 이들 지지세력의 반발을 극복할 수 있는 국민적 명분이 있는 이념과 노선을 신당이 제시하기 쉽지 않다. 특히 신당이 선거를 앞두고 급조될 것이라는 점이나, 예상 구성원의 면면상 내부 합의가 어려워 종이위의 그림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다. 민주당의 국민참여경선이 궤도에 진입한 상황에서 신당 창당의 구체적인 움직임은 경선후에나 이뤄질 수 있을 것이나, 곧바로 지방선거에 임해야 하는 시점이기 때문에 여야의 치열한 대결구도에서 여야 내부의 적전분열 행동에 제약이 가해질 수밖에 없다. 또 6월 지방선거에서 여야의 승패가 확실히 가려지지 않을 경우도 여야의 대선후보에 도전할 세력의 결집은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 이강원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