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금융읽기] '세계금융위기 우려와 한국경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요즘 독자들이 가장 많이 문의해 오는 것 가운데 하나가 "엊그제까지 과열을 우려했던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이 최근 들어 갑자기 위기감이 높아지는 이유를 이해할 수가 없다"는 점이다.
실제로 세계 곳곳에서 위기징후군이 감지되고 있다.
대만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과 아르헨티나를 위시한 중남미 국가,터키의 위기를 계기로 재연되고 있는 러시아와 동유럽 지역,최근 들어서는 미국경제의 경착륙에 대한 우려감이 높아지면서 이런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 세계경기의 특징을 따져보면 그 의문에 대한 해답이 나온다.
98년 9월 이후 세계경기가 회복국면에 접어든 것은 주로 "부의 효과(주가상승->자산소득 증대->민간소비 증가->경제성장)"에 기인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주도하던 때는 경기가 둔화되더라도 경제주체들이 예측 가능할 만큼 완만했으나,이번에는 세계증시 하락으로 역자산 효과가 나타날 경우 세계경기는 빠르게 위축될 수 밖에 없다.
세계소득의 기여도에서 설비투자는 10% 미만이나 민간소비는 60%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은 것도 커다란 요인이다.
지난 10년 간 호황으로 미국경제는 세계소득(GDP)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국제금융시장에서 미국시장에 대한 의존도는 더욱 심하다.
이처럼 불균형이 심화됨에 따라 미국경제와 미국증시가 흔들리면 위기감이 빠르게 확산된다.
국제금융시장에서 글로벌투자.기금투자가 보편화된 것도 문제다.
각종 기금들이 가장 많이 쓰는 투자기법인 "레비리지 투자(증거금대비 총투자비율)"는 금융시장이 호조를 보이면 투자규모와 투자수익간에 선순환 고리가 발생되지만, 침체국면에 빠지면 엄청난 규모의 자금을 빨아들이는 악순환이 나타난다.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못한 것도 위기감이 증폭되는 요인이다.
아시아 위기 이후 세계 각국들은 각종 국제협상에서 단골메뉴로 이 문제를 논의해 왔으나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가 없는 상태다.
오히려 논의과정에서 세계 각국간의 이해대립으로 공동대응이 불가능한 점이 확인됐다.
최근처럼 헤지펀드를 비롯한 국제투기자금들의 활동이 재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점은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의 운명을 좌우할 중요한 대목이다.
결국 개도국들이 외환위기에 다시 몰리게 될 경우 세계공동차원의 해결책이 없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밖에 각종 선거와 같은 정치적 일정이 맞물려 있는 것도 원인이다.
정도 차이는 있으나 대만 필리핀 한국 모두가 정치불안이 위기우려의 단초를 제공해 주고 있다.
특히 미국의 대선결과의 지연은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의 안정감을 빠르게 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보면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안을 쉽게 추론해 볼 수 있다.
바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안이다.
이달 19일 미국 연준리(FRB) 회의를 앞두고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것도 이런 연유다.
불행히도 선진국들은 경기둔화속에서도 인플레 징후가 상존하고 있는 데다 정치적 문제로 지금 당장 금리를 내릴 수 있는 입장이 못되고 있다.
안타까운 것은 최근처럼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선진국들이 금리인하 시기를 끌면 끌수록 개도국들의 애간장이 녹아난다는 점이다.
/ 전문위원 schan@hankyung.com
실제로 세계 곳곳에서 위기징후군이 감지되고 있다.
대만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과 아르헨티나를 위시한 중남미 국가,터키의 위기를 계기로 재연되고 있는 러시아와 동유럽 지역,최근 들어서는 미국경제의 경착륙에 대한 우려감이 높아지면서 이런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 세계경기의 특징을 따져보면 그 의문에 대한 해답이 나온다.
98년 9월 이후 세계경기가 회복국면에 접어든 것은 주로 "부의 효과(주가상승->자산소득 증대->민간소비 증가->경제성장)"에 기인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주도하던 때는 경기가 둔화되더라도 경제주체들이 예측 가능할 만큼 완만했으나,이번에는 세계증시 하락으로 역자산 효과가 나타날 경우 세계경기는 빠르게 위축될 수 밖에 없다.
세계소득의 기여도에서 설비투자는 10% 미만이나 민간소비는 60%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은 것도 커다란 요인이다.
지난 10년 간 호황으로 미국경제는 세계소득(GDP)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국제금융시장에서 미국시장에 대한 의존도는 더욱 심하다.
이처럼 불균형이 심화됨에 따라 미국경제와 미국증시가 흔들리면 위기감이 빠르게 확산된다.
국제금융시장에서 글로벌투자.기금투자가 보편화된 것도 문제다.
각종 기금들이 가장 많이 쓰는 투자기법인 "레비리지 투자(증거금대비 총투자비율)"는 금융시장이 호조를 보이면 투자규모와 투자수익간에 선순환 고리가 발생되지만, 침체국면에 빠지면 엄청난 규모의 자금을 빨아들이는 악순환이 나타난다.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못한 것도 위기감이 증폭되는 요인이다.
아시아 위기 이후 세계 각국들은 각종 국제협상에서 단골메뉴로 이 문제를 논의해 왔으나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가 없는 상태다.
오히려 논의과정에서 세계 각국간의 이해대립으로 공동대응이 불가능한 점이 확인됐다.
최근처럼 헤지펀드를 비롯한 국제투기자금들의 활동이 재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점은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의 운명을 좌우할 중요한 대목이다.
결국 개도국들이 외환위기에 다시 몰리게 될 경우 세계공동차원의 해결책이 없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밖에 각종 선거와 같은 정치적 일정이 맞물려 있는 것도 원인이다.
정도 차이는 있으나 대만 필리핀 한국 모두가 정치불안이 위기우려의 단초를 제공해 주고 있다.
특히 미국의 대선결과의 지연은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의 안정감을 빠르게 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보면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안을 쉽게 추론해 볼 수 있다.
바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안이다.
이달 19일 미국 연준리(FRB) 회의를 앞두고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것도 이런 연유다.
불행히도 선진국들은 경기둔화속에서도 인플레 징후가 상존하고 있는 데다 정치적 문제로 지금 당장 금리를 내릴 수 있는 입장이 못되고 있다.
안타까운 것은 최근처럼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선진국들이 금리인하 시기를 끌면 끌수록 개도국들의 애간장이 녹아난다는 점이다.
/ 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