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의 최종 부도처리와 법정관리 가능성이 짙어지자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정부도 대우차 법정관리가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기 시작했다.

산은은 3천5백명 감원 등이 포함된 대우차의 자구계획안이 질적으로도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노조의 동의가 없어 실현가능성이 떨어져 신규자금 지원에 관한 채권단 동의를 이끌어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산은은 제3의 컨설팅기관이 마련한 객관적이고 강도높은 대우차 구조조정안에 노조가 동의하겠다는 선언이 있어야만 체불임금 지급 등 채권단 지원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궁지에 몰린 대우차=대우차가 결제해야 할 진성어음은 6일에만 4백50억원.

그러나 이날 판매대금 회수 등 대우차가 스스로 마련할 수 있는 자금은 50여억원에 불과하다.

7일에도 4백20억원,8일 3백20억원 등 11일까지 1천7백억원의 결제자금이 남아있어 하루하루를 연명한다해도 채권단 자금지원 없이는 부도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더욱이 지난 주말 대우차 부도처리와 법정관리도 불사한다는 진념 재경부 장관과 엄낙용 산은 총재 발언이후 대우차가 받을 돈도 회수가 안 되는 실정이다.

대우차는 매달 1천5백억원 정도의 신규자금 지원이 이뤄져야 연명이 가능하다.

채권단은 더이상 ''밑빠진 독에 물붓는 식''의 자금지원은 한 푼도 있을 수 없다며 완강히 버티고 있다.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어떻게 되나=산은 등 대우차 채권단은 이미 법정관리에 대비한 마스터플랜 수립에 착수했다.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일단 예비실사 종료 후 관망자세를 보이고 있는 GM과의 매각협상은 중단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채권단은 기아차와 삼성차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법정관리 상태에서도 매각협상이 지속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오히려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보다 법적 안정성이 높은 법정관리 상태가 대우차 처리에 장점도 있다는 입장이다.

매각협상의 주도권도 산은에서 법원으로 넘어간다.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채권자의 채권신고가 있고 법원에 의한 채권의 시.부인 절차에 들어간다.

대우차 채무가 법적으로 확정되는 것이다.

이 경우 채권단은 포드가 문제삼았던 우발채무 문제의 부담을 덜 수 있다.

<>협력업체 도산,금융권 추가손실 불가피=그러나 일단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채권.채무관계가 동결되므로 협력업체의 자금난과 이에 따른 연쇄도산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대우차의 협력업체는 1,2차 협력업체만 따져도 1천5백여개.

3차 협력업체까지 감안하면 대우차 부도로 인한 피해는 산업전반으로 확산될 수밖에 없다.

부품업체들의 도산은 동업계인 현대자동차의 생산에도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다.

금융권도 추가 손실이 불가피하다.

지난 9월말 현재 은행권 4조7천5백99억원,보험권 2조2천2백41억원 등 대우차에 대한 금융권 총여신은 11조9천5백46억원에 이른다.

금융기관들이 충당금 적립 등 비교적 충분한 대비를 하고 있지만 추가 손실은 불을 보듯 뻔하다.

대외 신인도 하락에 따른 판매 부진과 이에 따른 부실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박민하 기자 haha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