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에서 발생한 가축병이 진성 구제역으로 확인된 가운데 증상이 유사한 수포성 질병이 충남 홍성과 연기,경기도 화성 등지에서도 신고돼 국민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국제적으로 "비발생지역"이었던 우리나라에서 66년만에 발생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충격적이지만 발병후에는 가축의 도축.폐기 이외엔 뚜렷한 치료법이 없다는 점에서 더욱 안타까운 일이 아닐수 없다.

정부는 3일 오전 오후 두차례에 걸쳐 국무총리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및 전국 시도지사회의를 열고,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동시에 범정부적인 방역대책과 농가피해 보상방안등을 마련했다.

소 돼지 등 축산물의 수출길이 막히고,축산농가의 홍수출하와 국민들의 소비기피가 맞물리게 되면 가격폭락과 농가피해는 상상할수 없을 정도로 심각해질 우려가 있다.

그럴 경우 자칫 축산업의 붕괴로 이어질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종합대책은 그 내용과 추진방법에 있어서 그야말로 철저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점을 우선 강조하고 싶다.

어떤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더라도 구제역이 더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급선무다.

정부가 밝힌대로 전국적인 예방접종도 필수적이지만 감염된 소의 도축.폐기 등을 너무 머뭇거리다 보면 낭패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동시에 원천적인 방역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감염경로 등을 철저히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국대륙으로부터 건너온 황사로 추정하는 등의 애매한 진단은 근본대책 수립은 물론 당장의 사태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피해농가에 대한 보상도 충분히 이뤄지지 않으면 안된다.

아무리 많은 보상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날벼락을 맞은 농민들의 쓰린 가슴을 달래주기에는 부족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충분한 보상을 주장하는 이유는 그같은 민심달래기의 차원이 아니라 축산업의 붕괴를 막기위해 불가피한 대책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또 이번 구제역 발병으로 인한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인체유해 여부에 대한 보다 명확한 입장표명이 있어야 한다.

정부는 물론 관련 전문가들이 "인체엔 해가 없으므로 먹어도 된다"고 말하고 있지만 국민들의 의구심을 해소시키기에는 미흡하다.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와 사례를 토대로 불안감을 해소시킬수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축산농가들은 발병징후가 나타나면 숨길게 아니라 신속한 신고를 통해 초기대처가 가능토록 협조해야 한다.

지금으로서는 전국 어느지역도 안심할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