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8일 발표한 1월중 산업활동동향은 우리 경제가 과열징후를 보이고
있지 않느냐는 걱정을 낳고 있다.

생산은 작년 같은달보다 무려 28.1% 늘었으며 도.소매 판매도 16.6%의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에따라 감속성장 정책이 필요한데도 정부가 총선을 앞두고 경기과열
진정책을 애써 외면하는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경기 상승 요인 =통계청은 지표 증가율이 높아진 것은 지난해 1월의
산업활동이 경제위기 영향으로 워낙 침체됐기 때문으로 설명했다.

여기에 컴퓨터를 비롯한 사무회계용 기기와 반도체 생산 증가, 설 특수 등이
더해져 실물경기지표가 올라갔다는 것이다.

실제로 생산의 경우 반도체와 사무회계용 기기 생산을 제외하면 전월대비
3% 증가에서 1%로 증가폭이 낮아진다고 밝혔다.

또 도.소매판매의 높은 증가율은 설 특수에, 건설수주액이 1백5% 늘어난
것은 수도권 아파트 재건축 붐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 문제 없나 =이런 경기 상승 추세가 지속된다면 부작용이 속출할 수 있다.

내수 확대에 따른 수입증가로 경상수지가 악화될수 있다.

또 총수요압력 증가에 따른 인플레이션 기대심리와 임금및 금리상승을 유발
한다.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원은 "1월중 산업활동 동향은 이제 경기
과열을 걱정해야할 시점에 도달했음을 시사한다"면서 "특히 99년과 달리
올해는 전년의 부진에 따른 기술적 반등효과가 크지 않은데도 증가율이 매우
높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재정과 통화정책을 보수적으로 운영하는 등 경기과열에 대비한
거시정책을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정부 시각 =재정경제부와 통계청은 과열로 볼 수 없으며 인플레 심리를
잡기 위한 긴축 정책은 필요하지 않다는 견해다.

박화수 통계청 경제통계국장은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지난해 12월에 이어
여전히 80.6%에 머물러 완전가동까지는 거리가 있는데다 생산능력도 정보통신
등을 중심으로 작년 동월보다 7.4% 확대된 만큼 단지 생산이 늘어났다고 해서
과열로 속단할 수 없다"고 밝혔다.

재경부도 통계청 견해에 동조하고 있다.

이에따라 금리인상이나 재정긴축 등 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한 정책을 추진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 강현철 기자 hckang@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2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