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이 ''지진공포증''에 시달리고 있다.

올해만해도 지난 1월 콜롬비아를 강타해 2천여명의 사망자를 낸 지진은
최근 터키 그리스에서 수만여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과학자들은 지진 관측망과 각종 자료를 동원해 지진에 대처할 방법을 찾고
있으나 시/공간적으로 불규칙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왜 일어나나 =지진은 크고 작은 단층이 일어나면서 탄성파가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이다.

대부분의 지진은 판구조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판구조론은 지각과 맨틀의 일부가 결합해 지구 위를 덮은 여러개의 판을
이루고 있으며 이 판들이 서로 움직이면서 지진과 화산 등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킨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지진은 판경계에 위치한 지역에서 자주 발생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지구의 표면은 전세계적으로 10여개의 판으로 이뤄져있다.

중요한 판으로는 태평양판 인도.호주판 아프리카판 유라시아판 북아메리카판
남아메리카판 남극판이 있다.

작은 판으로는 코코스판 카리브판 아라비아판 필리핀판 나즈카판이 있다.

더 작은 규모의 판으로는 터키판 이란판 헬렌판이 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 판 경계에 위치해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반면 우리나라
는 판경계와 비교적 멀리 떨어져 큰 규모의 지진은 발생하지 않는다.

터키와 그리스가 위치한 지중해 북동부는 유럽에서 지진활동이 가장 왕성한
지역으로 꼽힌다.

이 지역은 유라시아-아프리카-아라비아판이 맞물리는 접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진이 판 내부에서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중국은 판내부에 위치해 있음에도 때때로 대형 지진이 발생해
큰 피해를 입힌다.

이 원인은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으나 태평양판이 서쪽으로 움직이고
인도판이 북쪽으로 움직이면서 판 내부가 밀집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많이 발생하는 곳은 =전세계 지진의 81%가 태평양을 둘러싼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 지역은 태평양판을 중심으로 여러 판들과 접해있는데다 상대적으로
형성된지 얼마되지 않은 불안정한 곳이기 때문이다.

나머지 17%는 알프스산맥과 자바섬을 잇는 지역과 대서양의 해저지진대에서
발생한다.

미국지질학회에 따르면 세계에서는 매일 8천건이상의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물론 대다수는 사람이 느끼지 못하는 규모 1~2의 지진이다.

사람은 규모 3.0 이상이 돼야 지진을 명확히 느낄수 있다.

이런 지진은 매년 5만번씩 일어난다.

매일 30번씩 발생하는 셈이다.

큰 피해를 가져오는 규모 6.0 이상의 지진도 매년 1백건이 넘게 발생한다.

올해들어서도 지난 1월25일 콜롬비아를 시작으로 솔로몬 군도,
아프가니스탄, 인도 중국 이란 멕시코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필리핀 등에서
6.0 이상의 강진이 발생했다.

그리스에서 발생한 지진은 규모 5.9로 피해규모에 비해 강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이었다.

20세기에 발생한 가장 강력한 지진은 지난 60년 칠레에서 발생한 것으로
규모 9.5를 기록했다.

또 지난 76년 중국에서 발생한 규모 8.2의 지진으로 24만명이 희생돼
최대의 피해기록을 남겼다.

우리나라의 경우 78년 강원도 홍성에서 발생한 규모 5.0의 지진이 가장
강한 지진이었다.

<> 지진은 예측가능한가 =일반적으로 지진이 일어날때는 전조가 있다.

전자기적 변화, 지하수나 온천의 변화, 동물의 움직임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지진이 발생하기 직전 일부에서 포착할수 있을 뿐이다.

전사회적로 지진에 대처할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최근에는 GPS(지구위치정보시스템)를 이용해 지진을 예측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GPS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지구상의 위치정보 등을 알아내는 시스템이다.

만일 판이 움직이면 GPS를 이용해 그 이동속도를 알수 있다.

여기에 VLBI(초장기선전파간섭계)를 이용하면 미세한 대륙의 움직임도
포착할수 있다.

미국은 이를 이용해 대륙의 움직임을 살핀 결과 태평양판이 매년 6.5cm씩
움직이는 것을 알아냈다.

또 그동안 불분명했던 판의 경계도 정확하게 관측했다.

< 김태완 기자 twkim@ >

-----------------------------------------------------------------------

[ 지진 크기 표시 ]

지진의 크기를 나타낼때 일반적으로 절대적 개념의 규모(M)라는 말과
상대적 개념의 진도를 사용한다.

"규모"라는 용어는 미국의 지진학자 리히터 교수가 지진이 발생하는 총체적
인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로 쓰면서 일반화됐다.

가장 약한 지진은 규모 1, 가장 강한 지진은 규모 9.5이다.

규모가 1.0 증가할 때마다 에너지는 32배씩 늘어난다.

일반 사람들은 규모 3.0 이상이 돼야 진동을 느낄수 있다.

규모 4.5 정도면 집이 흔들리고 찻잔이 쏟아진다.

일반적으로 규모 6.0 이상을 강진으로 분류한다.

리히터 규모는 정확성에 한계가 있어 소수점 한자리까지만 표기한다.

1만5천여명의 사상자를 낸 이번 터키지진은 리히터 규모 7.8이었다.

진도란 특정 장소에서 감지되는 진동의 세기를 말한다.

지진의 규모는 하나지만 진도는 장소에 따라 달라질수 있다.

진앙지에서 가까운 지역의 경우 상대적으로 진도가 높지만 진앙지에서
멀수록 진도는 낮아진다.

진도는 각 나라의 사회적 여건과 구조물의 차이를 고려해 설정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기상청이 정한 8계급을 사용한다.

진도 3은 건물이 흔들리는 정도고 진도 6은 건물이 다수 파손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미국에서 시작돼 여러나라가 사용하는 MM 규모는 12계급을 갖는다.

< 김태완 기자 tw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9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