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가 큰 폭의 오름세로 돌아섰다.

저물가기조가 1년만에 막을 내리는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요컨대 물가문제가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은 아니지만 국제유가 환율 등
외부요인에다 전세값 상승을 비롯한 국내 상황도 좋지 않아 장기적으로
인프레불안이 쌓이고 있는 것이 문제다.

지난 5월이후 연속 내림세를 보이던 소비자물가가 지난달에 큰 폭으로 오른
가장 큰 이유는 농/축/수산물 가격상승이다.

이용희 재경부 국민생활국장은 "5~7월중 농산물 가격하락에 따른 가격반등
효과와 수해 태풍 등 경제외적 요인이 함께 작용해 농축수산물 가격이 6.8%
나 급등했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실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1.0%에서 농/축/수산물이 기여한 비중은
0.95%포인트를 차지했다.

기여도가 95% 수준이라는 얘기다.

농/축/수산물의 물가기여도가 종전에는 마이너스0.56(6월)~0.45%포인트(2월)
수준인 것을 보면 8월의 농/축/수산물 가격상승에 대한 기여도를 짐작할 수
있다.

재경부 물가정책과 관계자는 또 경기상승으로 인한 수요측면에서의 인플레
압력은 없다고 말한다.

그는 "우리경제에 상당한 디플레갭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요가 늘어 물가가
오른 것은 아니다. 외환위기 이후 올들어 경제가 급속히 회복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수요견인
인플레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김영배 물가통계팀장도 농/축산물 가격상승은 "단기적 요인"이므로
추석이 지난 다음달부터는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9월 이후 일부 공공요금의 인상이 예상되고 국제유가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집값.전셋값의 강세가 지속되는 등 불안요인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은의 김 팀장은 "유가와 공공요금은 다른 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이 커
앞으로 물가파급효과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부가 올해 공공요금을 현실화시키려 하는 것은 내년에는 경기
상승에 따른 수요측면에서의 인플레압력이 증가할 것을 우려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올해보다는 내년이 문제라고 주장한다.

한국개발연구원의 심상달 박사는 "내년에도 올해와 같은 환율안정을 기대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 김병일 기자 kbi@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9월 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