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이 22일 마련한 경영혁신책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몸부림"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임원들이 올해치 본봉의 30%를 소급해 반납하겠다고 나섬에 따라
경영부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은행들도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일단 산업은행의 감량경영을 촉발시킨 1차적인 원인은 4단계 금리자유화로
격화된 은행간 경쟁으로 여겨진다.

국책은행으로서 안정적인 지위를 누려온 산업은행으로선 최근의 국내외
영업환경 변화가 생존의 조건으로 등장했다.

업무면에서 제약을 줬던 정부투자기관 관리기본법에서 벗어났고 산은법이
개정됨에 따라 모든 분야에서 시중은행과의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산업은행 정철조 이사는 "시중은행과 본격적인 경쟁이 이뤄지는 마당에
옛날 관행을 유지한다면 살아남을수 없다"며 "국책은행에 안주하려는 의식에
대한 개혁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이사는 따라서 경영 효율성을 높일수 있도록 자산 점포운용에 새바람을
불어 넣을 작정이라고 덧붙였다.

산업은행의 이번 경영혁신은 임원들이 앞장을 섰다는 점에서도 주목되고
있다.

경제여건이 악화된 데 대해 직접적인 책임은 없지만 고통분담에 동참함으로
써 은행 혁신의지를 확고히 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 다른 은행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미칠 것이란 점에서도 의미가 부여된다.

다만 부실여신을 줄이기 위해 다음달 시행하는 부실여신 점수제는 운용의
미를 대단히 잘 살려야 된다는 지적이 많다.

자칫 여신자체를 움츠러들게 만들어 자금흐름을 어렵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박기호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