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전대통령 비자금사건과 관련,검찰이 4일 정태수한보그룹총회장을
소환한데 이어 금명간 배종렬전한양회장도 소환키로 함에 이들 두기업이
깊이 연루된 "수서비리 사건"과 "민자당 가락동연수원 특혜매각의혹"에
다시 관심이 모이고 있다.

검찰관계자도 "수사팀에 이 사건들을 연구하라고 이미 지시했으며
당시 사건을 담당했던 검사들에게 자문도 구할 계획"이라며 이들
사건이 노전대통령의 비자금 조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 이번
기회에 그 전모가 드러날지 주목된다.

수서사건은 지난 91년 1월 서울시가 한보측이 소유하고 있던 서울
강남구 수서, 대치 택지개발예정지구내 3만5천여평을 농협등 26개
연합직장주택조합에 특별분양키로 결정하면서 불거지기 시작한 사건.

서울시측은 당시 공영택지개발지구를 일반주택조합에 직접 분양할 경우
엄청난 시세차익을 보장해 주는것 이라며 반대방침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박세직씨의 시장 취임직후 이같은 기존 방침에서 급선회,
분양이 전격 결정됨으로써"누군가"에 의한 모종의 압력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강력히 제기됐다.

그후 언론을 통해 의혹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증폭되자 결국
검찰이 전면에 나서 수사를 벌였다.

당시 검찰은 정회장이 오용운국회건설위원장,김동주 이태섭 이원배
김태식의원, 장병조 청와대문화체육담당비서관, 이규황 당시건설부
국토계획국장등에게 모두 12억5천만원의 뇌물을 제공한 사실을 밝혀내고
정회장등 9명을 구속하는 선에서 수사를 매듭지었다.

그러나 세간의 의혹은 검찰 수사결과 발표후에도 좀체 수그러들지
않았다.

우선 사건의 배후 핵심으로 지목된 장씨가 고작 청와대문화체육비서관이
(1급)이라는 직위를 이용,부총리까지 참석한 당정회의를 여는등 1년
가까이 관계부서에 압력을 넣었다는 점에 납득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구속된 정회장은 풀려난 뒤 재계와 관계에서 "로비의 귀재"로
불리며 이전보다 더고속성장을 해 왔다는 사실도 같은 맥락이다.

이같은 "미스터리"때문에 당시시중에는 주택조합의 시공사인 한보그룹이
청와대에 3백억여원의 정치제금을 제공했으며 그 반대급부로 노전대통령이
특혜를 지시했다는 소문이 끊이질 않았다.

한편 배전한양회장의 소환은 6공의 또하나의 비리의혹으로 꼽혔던
서울 가락동 민자당 연수원 부지 특혜매각의혹을 다시 떠올리게
하고 있다.

이 의혹은 수서사건 1년후인 92년1월 민자당이 가락동 연수원 터를
한양에 매각하기로 비밀계약을 맺으면서 비롯됐다.

이 비밀계약의 내용은 한양이천안에 3백92억원을 들여 새연수원을
지어주는 대신 민자당은 한양측에 시세 1천8백원대의 가락동연수원부지
1만8천여평을 1천2백87억원에 매각키로 한다는 것.

또 그 차액은 노씨를 비롯한 정치권에 흘러들어갔으며 일부가총선자금
으로 사용됐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됐다.

이 문제는 민자당의 92년 대통령 후보경선 당시 정치쟁점화된 데
이어 당시 야당측은 노씨가 한양에 5백억원의 불법대출을 알선한
뒤,이 돈을 회수해 14대 총선자금으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한양의 배전회장과 관련,서울지검 공안2부는 지난 93년6월 한양의
"임금체불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배전회장으로부터 90~92년
4차례에 걸쳐 50억원씩 모두 2백억원의 비자금을 청와대에 제공했다는
진술을 확보한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이 두사건은 노씨의 비자금 조성에 깊이 연관돼 있어자칫
검찰의 수사를 6공비리 전반에 대한 수사로 확대시킬 수 있는 "화약고"가
될 수도있다는 것이 검찰주변의 대체적인 시각이다키는 "화약고"가
될수도 있다는 것이 검찰주변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 윤성민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1월 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