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건설업체들이 아파트 미분양적체심화로 초기분양률 마지노선을
크게 낮춰잡고있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미분양아파트가 15만가구에
육박하는등 미분양현상이 심화되자 서울및 주요 수도권지역을 제외한
지방에서 아파트를 분양할때 업체들이 예상하는 초기분양률이 20%선까지
내려가고있다.

특히 주택공급과잉으로 판단된 지역에서는 초기분양률을 무시한채
"선분양착수-후대책마련"이라는 수순을 밟고있는 업체도 나오고있다.

지난해까지만해도 40~50%선이던 초기예상분양률이 이처럼 낮아지고
있는 것은 업체들이 2~3년전부터 택지를 갖고있으면서 분양시기를
조정하다 금융비용이 늘어나면서 더이상 분양을 늦출수없는 상황에
도달하고있기 때문이다.

또 택지의 업무용보유시한인 3년이 지나 무거운 세금을 피하기위한
것도 초기분양률 마지노선을 낮춰잡는 요인이 되고있다.

동신주택과 코오롱건설은 이달말께 충주금릉지구에서 분양예정인
920가구의 아파트에 대한 초기분양률을 30%미만으로 예상하고있다.

이는 현지 주택경기가 바닥세인데다 분양물량이 많기 때문인데
두 업체는 금융지원등을 통한 사후대책마련에 부심하고있다.

한신공영은 초기예상분양률을 지방에서는 50%선으로 잡고 사업에
착수하고 있으나 미분양이 심한 수도권에서는 30%선으로 낮춰 잡고있다.

지방사업물량이 많은 우성건설도 지난해 평균 50%선이었던 초기분양률을
올해들어 30~40%로 떨어뜨렸다.

또 대우는 분양시기 조정없이 곧바로 분양에 착수하는 방식을 택하는데
지난 6월 경기도 시화지구에서 분양한 180가구의 초기분양률이 30%선에
불과했다.

대우관계자는 지난해까지만해도 보통 50%선으로 잡았던 초기 최저
분양률을 이젠 30%선으로 낮춰잡고 있다고 밝혔다.

< 김철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9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