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문제와 관련해 2030년께에는 평균기온이 섭씨 1.5-3.5도
상승한다든가, 해수위가 20-110cm 오른다는등 여러가지 가설이 대두되고
있다.
*** 일본 "과학 아사히", 이의논문 실어 ***
그러나 온난화논의는 가설로서의 현상과 원인및 이에 대한 미래예측에
치중하고 있을뿐이지 현실적으로 지구온도를 몇백년에 걸쳐 검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80년대이후의 지구온도상승경향은 뚜렷이 나타나지만 188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도 이경향은 나타났으며 특히 대기의 높이및 지구상의
여러곳에서 측정하면 각기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 기온상승 검증에 허점 ***
우선 대기의 높이를 지표 대류권중층 대기권근처및 하부성층권으로
나눠 보면 대기권근처및 하부성층권에서의 기온은 하강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추세로도 하층에서는 상승하나 상층에서는 하강하고 있다.
또한 지역별로 본다하더라도 남극권에서는 상승하고 있지만 북극권에서는
오히려 떨어지고 있다.
*** 북극권은 오히려 하강 ***
따라서 기온상승에 따른 수위상승도 남반구를 중심으로 올라가는
형편으로 온실효과에 의해서 명확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시계예에 따른 변화이외에 북반구전역에 걸친 공간적분포를 보더라도
동시베리아및 알래스카쪽에서만 기온이 상승될뿐 대서양쪽의 극지기온은
오히려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현상을 감안할때 겨울의 이상난동현상이 지구대기의 온난화
탓이라는 설명은 납득하기 어려운 것이다.
예를들어 지난해 일본및 동아시아지역에서는 따뜻했지만 동시에
아메리카에선 기록적인 한파를 보였다.
이 이상기후현상은 세계식량문제와 직결된 온난화현상연구에 앞서
수행돼야 할 과제이다.
그리고 남극등 일부지역에서 보이는 승온현상을 단지 이산화탄소에 따른
온실효과만으로 설명하기는 곤란하다.
지난 87년에 발표된 남극대륙의 2,000m이상 얼음기둥의 해석에서 과거
16년만에 걸쳐 이산화탄소가 그때의 기온과 극히 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이
소련과 프랑스의 과학자들에 의해 밝혀졌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가 원인으로 기온이 변화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온의
변화가 원인으로 이산화탄소가 기온에 대응, 변화하고 있다는 가설도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이산화탄소와 지표관계 새 정립 필요 ***
이에 대한 또 하나의 근거로 이산화탄소의 전부가 대기중에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절반가량이 바다에 흡수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해수의 표면수온을 변화시키는 것일까.
87년 레드란 학자에 따르면 해수면 온도의 변화는 무엇보다 태양활동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해수면온도와 태양활동에 따른 자기주기와의 대응은 기존 이산화탄소와
기온상승과의 관계를 새로이 짚어본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구온난화를 미완성적인 가설에 의해 왈가왈부 할것이
아니라 기초적인 사실에 입각, 구체적인 규명작업을 벌여 나가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