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기준금리(정책금리)를 결정하는 곳은 금융통화위원회다. 금통위는 7인의 위원으로 구성되는데 한은 총재와 부총재는 당연직이다. 나머지 5인은 기획재정부 장관,한은 총재,금융위원장,대한상공회의소 의장,전국은행연합회장 등이 각각 추천해서 대통령이 임명한다. 현재 금통위원은 이성태 총재(의장),이승일 부총재,심훈 박봉흠 김대식 최도성 강명헌 위원 등이다. 이 중 이 부총재는 오는 4월에 임기가 만료된다. 금통위는 매달 두번째와 네번째 목요일에 정례회의를 여는 데 이 중 기준금리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두번째 목요일이다. 이번 달과 다음 달엔 12일이며 4월엔 9일이다.

다른 안건과 마찬가지로 기준금리 변경 여부는 5인 이상의 출석과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확정된다. 금통위에서 대개 7인의 위원이 모두 참석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4인 이상의 찬성으로 결정되는 셈이다. 회의 진행은 각 위원이 돌아가면서 개인의견을 표명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의장인 총재는 맨 마지막에 의견을 제시한다. 만약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하는 위원이 4인이고,0.25%포인트 인하를 주장하는 위원이 2인이라면 총재는 다수쪽의 의견을 따라 5 대 2의 결과로 0.5%포인트 인하가 결정된다. 의견이 3 대 3으로 맞설 경우 총재가 캐스팅보트를 행사하게 된다. 실제 2006년 8월 금통위에선 이 총재가 캐스팅보트를 행사해 기준금리(당시는 콜금리)를 인상했었다.

한은이 옛 재무부의 산하기관으로 폄하돼 '남대문 출장소'로 불리던 시절, 금통위도 정부가 정한 금리를 추인하는 '거수기'로 비쳐졌지만 지금은 외풍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평가다. 그러나 박승 전 총재 시절 부동산투기를 막기 위해 금리 인상이 절실했는 데도 정부의 압력에 눌려 올리지 못했고 지난해 8월 금융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선 금리를 내려야 했는 데도 오히려 금리를 올려 적절치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금통위원들은 금리정책을 다루기 위해 국내외 경제 상황에 대한 연구와 분석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수시로 한은 실무진에게 관련 자료를 요청해 검토하고 있다. 또 금통위 회의 전에 경제상황점검회의와 동향보고회의를 열어 최근 바뀐 상황에 대해 집중진단한다. 금통위원들은 업무의 중요성 때문에 상근하며 적지 않은 보수도 받고 있다. 올해 한은 총재 연봉은 15% 자진 삭감해 3억4070만원,다른 금통위원은 3억125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