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훈장 받은 청소년활동진흥원 전명기 전문위원 인터뷰
"유해환경 쫓아다니면서 단속한다고 근본적인 해결 안 돼"
"청소년 참정권 확대가 교육현장 정치화?…어른들의 기우"
"마약·성인채팅앱 문제, 청소년 관심 돌릴 것 찾아야 해결"
"과연 청소년들의 진정한 관심사가 마약, 성인채팅 앱일까요? 공부 외에 일상적으로 즐길만한 활동이 없어서 다른 궁리를 하게 되는 거라고 봐야 합니다.

"
최근 열린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에서 청소년을 위해 헌신한 공로로 국민훈장을 받은 전명기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수석전문위원은 지난 26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유해업소를 쫓아다니거나 온라인을 모니터링하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전 위원은 1990년부터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청소년 활동 연구를 시작했고, 이후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진흥센터(현 청소년활동진흥원)를 거쳐 현재 청소년활동진흥원에서 수석전문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그는 청소년 관련 50여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하고 40여개 정책과제에 참여해 청소년 활동 현장을 활성화하는 데 힘썼다.

전 위원은 청소년들이 마약류 투약, 온라인 성착취 피해 등에 노출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과연 청소년들의 관심사가 유해환경에서 시작하겠는가"라고 물으며 "본인이 하고 싶은 활동을 하기 여의치 않을 때 다른 궁리를 하게 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청소년들이 원하는 활동을 시간과 비용 제약 없이 즐기도록 해 유해환경으로부터 관심을 돌려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전 위원은 청소년들이 원하는 정책을 직접 정부에 제안하는 청소년 정책 참여기구 '청소년특별회의'를 주관하기도 했다.

여기서 청소년들이 제안한 의제 90여건은 실제 정책으로 반영됐다.

그는 "2020년 시행된 18세 선거권 부여의 출발점에 20년 전 청소년들의 제안이 있었다고 생각한다"라며 "(청소년 선거권 확대는) 2004년, 2005년부터 청소년들이 의제로 요구했던 내용이었고 그 이후 사회적인 논의가 이어졌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2004년 첫 청소년특별회의에서 청소년 위원들은 이해찬 당시 국무총리와 대화를 나눈 자리에서 청소년 참정권 확대를 위한 18세 선거권 부여를 제안했다.

교육현장이 정치화된다거나 청소년들이 정치적으로 쉽게 선동되는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각에 대해서는 "중앙정치만을 염두에 둔 어른들의 기우"라고 했다.

그는 "청소년 스스로 지역사회 현안에 대해 생각하는 바를 사회에 표출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진정한 민주시민 교육"이라고 했다.

최근 청소년 활동이 위축된 이유로는 코로나19 영향과 함께 청소년들의 활동 수요가 달라진 점을 꼽았다.

전 위원은 "30년 전과 지금 청소년들이 원하는 활동이 다른데, 청소년 활동의 변화는 지체된 측면이 있다"고 아쉬워했다.

그는 "지금 청소년들도 혼자 있을 때 고립감을 느끼는 건 이전과 마찬가지지만, 전처럼 200∼300명이 함께 동원되는 대집단 활동을 즐기지 않고 소규모 그룹을 더 선호한다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만큼 디지털 역량을 강화 프로그램을 점점 더 많이 요구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국민포장을 받은 소감을 묻자 전 위원은 "청소년들이 학교나 가정에서 경험할 수 없는 다양한 체험활동을 지역사회에서 할 수 있어야 한다"라며 "이같은 청소년 활동의 중요성이 청소년과 국민의 공감을 더 많이 얻을 수 있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