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석사진 촬영과 SNS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생네컷’은 지난해 중국 진출을 추진하다가 황당한 일을 겪었다. 현지 즉석사진 업체가 남녀 얼굴 모양의 회사 로고를 베껴 인기를 끌고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됐기 때문이다. 인생네컷을 중국어로 바꾼 ‘인생사격(人生四格)’이란 상호의 업체는 이미 여러 개가 등록돼 있었다. 회사 관계자는 “상표권 침해로 중국 진출 전략 자체를 원점에서 다시 짤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시장에서 한국 기업에 대한 상표권 도용이 다시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의 상표권 도용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이 주춤해진 틈을 타 상표권 도용이 크게 늘었다는 분석이다. 특히 ‘이름값’이 중요한 프랜차이즈 기업을 중심으로 상표권 소송이 잇따르고 있다.
인생네컷도 상표권 도용 사실을 확인한 뒤 큰돈을 들여 상표권 침해 소송을 했다. 하지만 중국 법원은 1심에서 인생네컷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중국에서 유명하지 않은 인생네컷의 상표권을 인정하기보다는 선(先)등록주의에 따라 미리 상표권을 등록한 해당 업체의 손을 들어줬다. 엄명룡 특허법인 다해 변리사는 “중국의 경우 악의적인 모방 상표에 대해 기업들이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제도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결국 인생네컷은 남녀 얼굴 형상화 로고를 중국 시장에서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회사 관계자는 “값진 경험을 바탕으로 대만 등 다른 국가에 상표권을 우선 등록했다”며 “한글 로고를 앞세워 상반기 중국 진출을 대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샌드위치 브랜드 ‘에그드랍’도 비슷한 피해를 입었다. 중국 회사들은 에그드랍의 영문 표기인 ‘EGG DROP’ 단어 사이에 가운뎃점을 찍은 ‘EGG·DROP’ 등의 상표를 등록했다. 다행히 에그드랍이 상표권 무단 도용 소송에서 이기긴 했지만 이미 도용 업체가 가맹점을 다수 보유하고 있어 회사 이미지에 타격을 받았다. 빙수 프랜차이즈 업체 ‘설빙’ 역시 중국의 ‘설빙원소’란 회사와 상표권 무효 소송을 했다. 파리바게뜨는 2017년 발음은 같지만 한자만 달리하는 방식으로 상표권을 모방한 현지 업체로부터 상표권 이용 대가로 1000만위안(약 18억원)을 요구받기도 했다. 5년 동안의 긴 법정 분쟁 끝에 중국 법원은 파리바게뜨의 손을 들어줬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로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이 힘들어진 점을 현지 기업들이 악용한다고 분석했다. 어차피 중국 진출을 못하는 상황이니 선호도가 높은 한국 프랜차이즈 업체의 ‘간판’을 무단으로 가져다 써도 된다는 것. 중국 내 상표권 무단 선점 사례는 코로나19 이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날 특허청에 따르면 2019년 코로나19가 본격화하기 전 중국의 상표권 무단 선점 건수는 1486건이었지만, 2021년엔 2922건으로 1436건(96.6%) 늘었다.
전문가들은 해외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들이 상표에 대한 권리를 먼저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연덕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이 상표권을 뺏기면 저명상표로 인정받기 힘들다”며 “진출할 국가에 상표권부터 등록하고 해외 사업을 준비하는 게 가장 안전하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춘제(春節·설)를 기점으로 소비가 되살아나고 있는 가운데 루이뷔통의 가격 인상설이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에 불을 붙였다는 보도가 나왔다.6일 홍콩 명보는 "루이뷔통이 오는 18일부터 중국에서 가격을 인상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많은 도시의 루이뷔통 매장 앞에 긴 대기 줄이 늘어섰다"고 보도했다.루이뷔통의 가격 조정은 지난해 12월 이후 두 달만인데 해당 소문이 퍼지자 반응이 냉랭하기는커녕 소비 열기에 불을 붙였다는 설명이다.보도에 따르면 루이뷔통이 가격을 20% 인상할 것이라는 소식이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 인기 검색어 목록에 올랐고,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와 같은 1선 도시 외에도 우시, 난징, 항저우 같은 2선 도시에서도 해당 매장 앞에 긴 줄이 늘어섰다.중국 럭셔리 브랜드 시장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고 명보는 전했다.지난해 컨설팅 회사 베인앤드컴퍼니는 '2021년 중국 사치품 시장 보고서'에서 가죽 제품, 의류, 보석류, 손목시계, 화장품 등을 포함한 중국의 2021년 명품 소비액이 4710억위안(약 86조5000억원)에 달해 전년보다 36%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2021년 중국 시장이 세계 명품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로 전년보다 1%포인트 높아졌다.베인앤드컴퍼니는 이 같은 추세라면 2025년 중국이 미국과 유럽을 제치고 세계 최대 명품 시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미국 정부가 자국 해안 상공에서 격추한 중국의 정찰풍선 잔해를 수거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중국의 주장대로 기상관측용이었는지, 아니면 미국의 의심대로 군사정보 수집 목적이었는지가 조만간 드러날 전망이다. 미국 내에선 대중 제재를 추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미 국방부는 5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전날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해안 상공에서 격추한 중국의 정찰풍선 잔해를 수거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군함과 잠수병 등이 수색 작업에 동원됐다. 미 국방부 관계자들은 정찰풍선이 비교적 수심이 얕은 곳에서 격추됐기 때문에 복구 작업이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미국 정부는 정밀 사진 촬영 장비가 정찰풍선 잔해에서 나오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중국 정부는 기상관측을 위한 민간 정찰풍선이 통제력을 잃고 미국 영공에 흘러들어갔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은 군사정보 수집 목적으로 보고 있다. 이 풍선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격납고가 있는 공군기지 상공에서 발견됐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정찰풍선에 미국이나 다른 동맹국의 기술이 적용됐는지도 면밀히 조사할 방침이다.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중국에 대한 제재 수위가 결정될 전망이다. 미국에선 공화당을 중심으로 대중 기술 수출 통제를 추가로 부과해야 한다는 압력이 커지고 있다.조 바이든 대통령의 늑장 대응에 대한 비판도 나오고 있어 대중 규제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블룸버그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방중 계획을 취소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강경한 메시지를 가지고 중국 방문을 재추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중국 외교부는 이날 주중 미국대사관에 격추에 대해 항의하며 반발을 이어갔다. 중국이 이번 사건으로 난처한 상황에 처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중국이 미국 등과의 관계 개선을 바라고 있었기 때문이다.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아시아태평양 정책 담당 대통령 특별보좌관을 지낸 에번 메데이로스 조지타운대 교수는 NYT에 “중국의 지정학적 운신 폭이 매우 좁다”며 “들켜버렸는데 갈 곳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중국과 대만이 군사적 갈등을 겪고 있는 가운데 중국 인민해방군 홍보 영상에 대만산 술잔이 등장해 양안(兩岸·중국과 대만)의 해석이 분분하다.대만 언론들은 "중국이 과거보다 온화한 메시지를 발신하는 증거"라고 해석했지만, 중국 관영매체들은 "술은 중화 문화의 일부분"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6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 대만 싼리신원망(三立新聞網) 등 매체에 따르면 양안의 해당 영상은 대만을 담당하는 인민해방군 동부전구가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에 '수호(守護)'라는 제목으로 게시한 1분24초 분량의 홍보 영상이다.이 영상은 중국군이 대만 해협을 지키고 있고, 양안 동포들이 만나기를 희망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양안 매체들의 관심을 끈 것은 영상 속 여러 사람이 건배하는 장면으로, 술잔에는 진먼 고량주 공장이라는 의미의 '금문주창(金門酒廠)'이라는 글자가 새겨있다.진먼 고량주는 대만을 대표하는 술로 통한다. 마잉주 전 대만 총통이 2018년 5월 양안 분단 후 최초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만났을 당시 만찬 테이블에 오른 술이다.대만 언론 ET투데이는 해당 영상에 대해 "술이 대만 특산 진먼 고량주라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이 장면은 중국 정부의 대만 정책이 온정적인 노선으로 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대만 싼리신원망도 "홍보 영상 속 전투기와 군함의 모습이 크게 줄었다"면서 "이번 영상이 온정적 노선을 조성하고 있다"고 보도했다.반면, 중국 관영매체는 "조국 통일에 온정주의는 없다"며 선을 그었다.관영 환구시보는 "인민해방군은 적에게 총을 사용하고 동포를 가족으로 여기며 조국에 충성을 바친다. 국가의 통일을 더 확고히 수호하겠다는 입장을 온화한 방식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외부 세력의 도발과 대만 독립분자의 선동은 양안 관계를 점점 멀어지게 할 수 있고, 이들에 대해서는 온정을 베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또 "영상에 등장한 진먼 고량주 등은 중화 민족의 일부 양안이 반드시 통일될 것이고 중국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라는 점을 의미한다"고 전했다.중국 군사전문가 쑹중핑도 환구시보와의 인터뷰에서 "명절에 술을 마시는 것은 중국의 전통으로, 양안이 문화적으로 서로 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이어 "일가친척이 모이면 좋은 술이 있지만, 평화를 방해하는 외부 세력과 대만 독립분자에게는 총밖에 없다"고 강조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