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절반 "의료용 방사선, 위험하지만 어쩔 수 없어"
영상의학과에 대한 불안감 여전…'의료진의 설명 부족'이 문제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영상의학과를 거쳐야 하지만 '의료용 방사선'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은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영상의학과를 찾은 환자 중 절반 이상이 과도한 검사를 받는다고 생각했으며, 방사선 노출이 가장 많은 장비로 컴퓨터단층촬영(CT) 대신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MRI)를 꼽은 환자도 45%에 육박했다.

한국과학기자협회와 대한영상의학회는 올해 7월부터 약 2개월 동안 국내 대학병원 3곳과 1개 중소병원을 찾은 20대 이상 성인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영상의학과에 대한 국민 인식도를 공동 설문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방사선 노출이 가장 많은 진단장비는 CT지만 응답자의 45%(45명)가 MRI라고 답변했다.

특히 '의료용 방사선이 위험하다'거나 '위험하지만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각각 6%, 55%에 달했다.

이처럼 환자들이 영상진단장비를 불안해하는 가장 큰 원인은 의료진의 설명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두 단체는 분석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의료용 방사선 피폭의 안전성에 대해 '설명을 들은 적이 없다'는 응답이 57%나 됐다.

이와 더불어 응답자 대다수가 영상검사를 받는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호소했다.

가장 불편한 점으로는 '긴 대기시간'(39%)이 꼽혔으며, '검사 뒤 결과 설명이 없다'(18%), '검사방법에 대한 설명이 없다'(12명%), '검사를 왜 하는지 설명이 없다'(11%)는 답변이 그 뒤를 이었다.

영상의학과의 중복 및 과잉검사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검사를 한두 번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45%로 절반 가까이 됐다.

'중복 검사를 왜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못 받았다'(37%), '받았더라도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힘들다'(30%)는 답변이 총 67%에 달했지만, '충분한 설명을 들었고 이해한다'고 한 응답자는 8%에 불과했다.

한국과학기자협회와 대한영상의학회는 23일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공동 포럼을 열고 이런 내용을 포함한 '영상검사 대국민 인식개선'을 주제로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김길원 한국과학기자협회장 직무대행은 "진단방사선과가 영상의학과로 이름을 바꾼 지 올해로 10년이 됐지만, 국민 인식도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토론회가 영상검사에 대한 대국민 인식이 개선되고 더욱 나은 대안을 찾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김승협 대한영상의학회 회장은 "앞으로 영상의학과에 대해 국민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대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병원에서 영상검사를 할 때 친절한 설명과 안전한 검사가 시행될 수 있도록 의료진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민수 기자 k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