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분야 세계은행’으로 주목받고 있는 녹색기후기금(GCF)이 4일 인천 송도에서 공식 출범했다.

GCF 측은 “우선 수십억달러 상당의 기금을 조성해 내년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용 총재가 이끄는 세계은행 그룹 한국사무소도 이날 송도에 문을 열었다.

헬라 쉬흐로흐 GCF 초대 사무총장은 이날 송도 G타워에서 열린 사무국 출범식에서 “GCF는 전 세계가 저탄소 경제로 전환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를 위한 힘과 재원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범식에는 박근혜 대통령과 김 총재 등 국내외 주요 인사 400여명이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축사에서 “기후변화를 창조경제의 핵심 분야 중 하나로 설정해 에너지 관리시스템, 신재생에너지, 탄소 포집·저장(CCS)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관련 산업 발전과 시장 창출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영상 메시지를 통해 “GCF가 본격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국제 사회가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출범식에 이어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회로 ‘기후변화 대응 방향과 GCF의 역할 및 비전’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에는 김 총재와 쉬흐로흐 GCF 사무총장, 크리스티아나 피게레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개발도상국이 경제성장과 기후변화 대응을 함께하기 어렵지 않느냐’는 현 부총리의 질문에 김 총재는 “앞으로 녹색 에너지, 오염저감 기술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업 수요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이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경제성장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경제성장과 기후변화 대응은 상충관계가 아니라 양립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현 부총리도 “현 상황은 전 지구적으로 긴급한 상황”이라며 “국제사회의 즉각적 행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GCF가 영향력 있는 국제기구로 성장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가장 큰 문제는 ‘돈’이다. 당초 2020년부터 연간 1000억달러 수준의 재원 조성을 목표로 출범했지만 선진국들의 소극적 자세로 목표 달성이 쉽지 않다. 현재까지 구체적인 기금 출연을 약속한 나라는 한국(4000만달러)과 스웨덴(4500만달러)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독일, 노르웨이, 영국 등이 기금 출연 의사를 밝힌 정도다.

한편 김 총재는 세계은행 한국 사무소 개소식에서 “세계은행그룹과 한국은 절대빈곤 타파와 공동번영을 위해 공공과 민간 양 부문에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주용석/김우섭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