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성관 총장 내정…후속인사도 관심

천성관 서울중앙지검장이 검찰총장에 내정된 것을 계기로 검찰조직 내에서 공안 부문의 약진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검찰 내에서 대표적인 `공안통'으로 불리는 천 내정자가 예상을 깨고 선배들을 제칠 수 있었던 것은 `공안기능'을 중시하는 이명박 대통령의 의중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라는 해석이 많다.

이에 따라 천 내정자의 총장 취임 이후 이뤄질 검찰 간부 후속 인사에서도 공안 전문 검사들이 대거 요직에 기용될 것으로 점쳐진다.

3기수를 뛰어넘은 천 내정자의 발탁으로 승진 인사폭이 넓어진 터라 정권 교체 후 공안검사들이 중용돼 온 흐름이 이번 인사에서는 더욱 두드러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지난 2월의 정기인사에서도 공안통의 약진이 눈에 띄었다.

천 내정자가 상대적으로 승진인사와 거리가 멀었던 수원지검장에서 `빅4' 중 하나인 서울중앙지검장으로 도약했던 것이 대표적인 예다.

김영한 청주지검장 등 공안 파트에서 오래 일했던 인물들도 일선 지검장 자리에 여럿 배치됐다.

사실 검찰 내에서 공안 파트의 위상 강화는 정권이 교체된 순간부터 예고됐다.

1970~80년대 시국 사건을 담당하며 승승장구했던 공안 검사들은 김대중 정부 들어 한결같이 한직으로 밀려나는 수모를 겪어야 했고, 노무현 정부에서도 그런 기조는 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현 정부들어 공안검사 출신의 김경한 법무부 장관이 `법질서 확립'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면서 검찰 내 공안 부문에 다시 힘이 실리기 시작했다.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협상과 관련해 대규모 촛불시위가 벌어지는 등 공안수요가 늘어난 점도 공안의 `화려한 부활'에 도움이 됐다는 평가다.

대검에서도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올해 3월 테러ㆍ출입국, 사회ㆍ종교 등 단체 관련 사건과 거리의 집단행동 사건을 담당하는 공안3과를 신설했다.

참여정부 시절 폐지됐던 공안3과가 다시 살아난 것은 공안기능을 중시하는 현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와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인식됐다.

이 와중에 특별수사의 최고 사령탑인 대검 중수부가 `박연차 게이트' 수사를 중도에 접는 초유의 사태마저 벌어진 것은 검찰 조직의 중심추가 급속히 공안 쪽으로 쏠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고 말았다.

(서울연합뉴스) 백나리 기자 nar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