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예정대로 5일 총파업에 돌입키로 하고 정부가 강경대응 방침을 천명한데 대해 시민.사회단체와 일반 시민들은 총파업에따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우려하며 '노.정간 대화와 타협'을 통한 합리적인 문제해결을 촉구했다. 특히 시민들은 노동계의 연대파업이 사회불안을 야기하고, 가뜩이나 바닥을 헤매는 우리 경제의 회생전망을 어둡게 할까 걱정하면서 노동계에는 '파업자제'를, 정부측에는 '법집행의 유연성'을 요구했다. 경실련 이강원 부실장은 "민주노총의 총파업은 1차연대 파업의 연장선상에 있는것으로, 노동계의 1차 파업과정에서 발생한 정부의 과잉대응에서 비롯된 것이기는 하나 노사분쟁은 합리적인 조정절차를 통한 관행과 제도마련, 적용의 공정성이 관건인만큼 노동계도 제도적 틀속에서 해결하려는 성숙한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 하승창 사무처장은 "문제는 '노사정위'라는 사회적 합의기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다"며 "빨리 노사정위가 재가동되든지 아니면 노사문제를 다룰 새로운 기구 구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전경련 최정기 고용복지팀장은 "이번 총파업은 임금.근로조건과 같은 근로자들의 권익향상을 위한 것이라기보다 지난달 1차 연대파업때 불법 행위자에 대한 법집행과 관련된 정치성향의 파업"이라며 '파업자제'를 촉구했다. 또 한국경영자총협회 최재황 홍보부장은 "경제적 어려움 속에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서 총파업을 벌이겠다는 것은 집단이기주의"라며 "노동계가 경제위기 타개와 노사관계 안정을 위해 총파업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양대 사회학부 권 훈 교수는 "노동운동은 정치적인 것보다는 경제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번 총파업은 현 정부의 '원칙없는' 노동정책에서 비롯된 측면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나 같은 대학 경제학부 나성린 교수는 "이번 총파업은 노동자들을 위한 것인지 일부 지도부의 정치적 역량강화를 위한 것인지 쟁점이 모호하다"며 "노동자의 복지향상, 국가경제 모두에 도움이 안되는 이번 파업은 재고돼야 한다"고 말했다. 회사원 양익준(33)씨는 "경기가 아주 어려운 것을 피부로 느낀다"면서 "노동자들의 파업도 정당한 것이지만 노동자들의 주장만 앞세우는 것은 국민들의 지지를 얻기 힘들다"고 말했다. 대학생 정정훈(25)씨도 "노동계의 주장에는 공감하지만 시기가 좋지않고 국민적 공감대도 얻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도 말로만 노동자들을 동반자라고 얘기할 것이 아니라 노동계의 목소리에 진지하게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부 김기숙(33.여)씨는 "민주노총은 파업에 앞서 지나치게 정치적인 주장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도 민주노총 지도부에 대한 수배를 풀고 서로 머리를 맞대고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우 기자 jongw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