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1·노량진3 재개발 '건설사 공동 시공' 놓고 조합 내 갈등
건설사 두 곳 이상이 아파트를 공동으로 짓는 이른바 ‘컨소시엄(공동도급)’ 방식을 두고 재개발·재건축 조합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컨소시엄에 반대하는 조합원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조합 내 갈등이 커지는 사례가 나오고 있어서다.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신림1구역(사진) 재개발 조합은 오는 26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제2차 정기총회를 연다. 총회에서는 건설사 컨소시엄과의 수의계약 체결 안건에 대해 찬반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신림1구역은 GS건설·현대엔지니어링·DL이앤씨 컨소시엄이 두 차례 단독으로 참여해 유찰됐다. 정비사업은 경쟁 입찰이 두 차례 유찰될 경우 수의계약으로 시공사를 선정할 수 있다.

신림1구역은 재개발을 통해 향후 2886가구의 대단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공사비만 1조원이 넘는 대형 사업지다. 경전철 신림선 개통 등 교통 호재도 적지 않다. 하지만 신림1구역은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컨소시엄 참여’를 놓고 내홍을 겪었다. 일부 조합원이 컨소시엄 방식으로 진행되면 아파트 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시공사 입찰 규정에 ‘컨소시엄 입찰 금지’ 조항을 넣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건설사 측은 단일 브랜드 선택권, 단일 시공 등 컨소시엄 방식의 보완책을 조합원에게 제시했다.

비슷한 현상은 동작구 노량진3구역에서도 발생했다. 이곳은 지하 4층~지상 30층, 총 1272가구의 아파트촌으로 재개발된다.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일부 대형 건설사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입찰에 참여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일부 조합원이 반대 뜻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컨소시엄 방식을 꺼리는 조합원은 하자 보수 미흡 등 아파트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시공 책임이 분산돼 협의 과정이 길어진다는 것도 단점이다. 반면 컨소시엄 방식을 통해 건설사 간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사 입장에서도 인력이나 금융 비용 부담이 줄어드는 게 장점”이라고 했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