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의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룰(규정)’이 이르면 이번 주 윤곽을 드러낸다. 차기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10명 안팎의 인사가 가장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지도 체제 변경 여부다. 현행 단일성 집단 지도 체제가 유지되느냐에 따라 내년 2월로 예정된 전당대회 판도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당은 24일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열어 당헌·당규개정특위와 비대위 산하 정당·정치개혁소위가 이달 초부터 진행한 당헌·당규 개정 논의 결과를 보고받을 예정이다. 이번 논의 대상에는 지도 체제 성격과 당대표 선거 때 국민 여론조사가 차지하는 비중, 당원권 정지 기준 등이 포함됐다.

한국당은 2016년 7월부터 2년 넘게 단일 지도 체제를 유지해 왔다. 단일 지도 체제는 전당대회에서 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선출해 대표가 막강한 권한을 갖는 게 골자다. 공천 영향력도 당대표에게 집중된다. 이에 비해 집단 지도 체제는 대표와 최고위원 선거를 같이해 1위가 대표가 되고 2위부터는 최고위원이 되는 방식이다. 이 체제에선 당대표가 주요 당무 의결 과정에서 나머지 최고위원과 마찬가지로 1표의 의결권만 갖기 때문에 권한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전당대회 출마가 예상되는 후보군 가운데 김태호 전 경남지사와 오세훈 전 서울시장, 정우택 한국당 의원(이름순)은 단일 지도 체제를 선호하고 있다. 차기 당대표는 2020년 총선을 앞두고 흩어진 보수 진영을 결집하는 막중한 역할을 맡게 되는 만큼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지난달 말 복당한 오 전 시장은 단일 지도 체제가 유지돼야 전당대회에 출마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수차례 해왔다. 한국당 일각에선 현역 의원이 아닌 김 전 지사와 오 전 시장의 경우 집단 지도 체제에서 당대표로 선출되면 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반면 김진태·심재철·안상수·주호영 현역 의원 등은 집단 지도 체제로의 변경을 주장하고 있다. 안 의원은 “야당은 합의의 정치가 중요하기 때문에 집단 지도 체제에서 여러 의원이 합의를 통해 주요 사안을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당내에서는 김병준 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역시 단일 지도 체제를 선호하고 있어 집단 지도 체제로 바뀔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이 많다.

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