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토연구원의 보고를 바탕으로 세종시의 성격을 기존의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교육ㆍ과학 중심의 경제도시로 전환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지정을 통해 인근 대덕ㆍ오송 등과 연계한 `과학 메카'로 육성될 전망이다.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오는 2015년까지 200만㎡의 사업부지에 3조5천억원을 투입하는 대형 국책사업으로 현 정부의 과학 분야 최대 대선공약이지만 지난 2월 특별법이 국회에 제출된 뒤 제대로 심의조차 받지 못했다.

과학비즈니스벨트가 세종시 자족방안으로 부상하게 된 것은 이를 통해 대규모 연구개발 클러스터를 형성, 과학도시로의 조성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여기에는 독일 드레스덴과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RTP)의 성공 사례 등이 배경이 됐다는 후문이다.

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시 세종시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연구원과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위한 대형 연구 및 분석 장치인 중이온가속기연구소, 대형연구시설ㆍ장비 등이 들어서게 된다.

기초과학연구원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일본 이화학연구소와 같은 기초과학 종합연구기관으로 장기적으로 5개 연구단 3천명 규모로 조성된다.

비록 중이온가속기 설치에 따른 고용 효과는 300∼400명에 불과하지만 노벨물리학상의 20%가 가속기 기반 연구라는 분석에 비춰 이를 이용해 연구하고자 하는 유수의 과학자들이 세계 각지에서 몰려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토대로 세종시는 대덕 R&D(연구개발) 특구와 오송ㆍ오창의 IT(정보기술)ㆍBT(바이오기술)의 연계, 우수대학, 첨단연구소 등 과학을 접목시킨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육성된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지난 16일 열린 세종시 민관합동위 첫 회의에서 "돈과 기업이 모이는 `경제 허브', 과학과 기술이 교육과 문화와 어우러져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내는 `과학 메카'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하는 등 교육과 과학을 강조해왔다.

다만, 세종시기획단은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세종시 성격을 규정할 경우 선도기업, 산업활동에 대한 의미가 축소돼 자족 보완이 약해지는 것으로 오인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세종시 민관합동위는 이날 회의에서 `세종시 발전방안'의 기본 방향과 골격을 정하는 토론을 심도있게 벌여 가급적 기본 골격에 대한 합의를 이룰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hanajj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