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정치일정과 쇄신안은 7일 당무회의에서 표결처리되든, 합의처리되든 ''당 발전.쇄신 특대위''안이 일부 수정되는 선에서 최종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전당대회 시기= 지방선거 전 대선후보 선출 전당대회를 개최하는 방안이 다수안으로 채택될 것으로 보인다. 특대위안은 3월 31일로 돼 있지만 당초 예상보다 논의가 열흘 이상 지연된데다 쇄신연대와 한화갑(韓和甲) 상임고문측이 충분한 준비기간을 강조해온 만큼 ''4월''로 낙착될 가능성이 높다. 심재권(沈載權) 기조위원장은 "최소한 지방선거(6.13) 한달 전에는 지도부 구성을 끝내고 지방선거 후보 선출 작업에 들어가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4월 20일까지는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지도체제= 전대 시기가 대세인 4월로 가닥을 잡음에 따라 지도체제 문제가 막판 최대쟁점으로 떠올랐다. 순수 집단지도체체인 ''중앙집행위원회''보다는 절충형 집단지도체체인 ''최고위원회'' 쪽으로 합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원내총무와 정책위의장이 당연직 최고위원으로 선임하는 쪽으로 특대위 수정안이 나온 만큼 최고위원 수는 9명보다는 11명(7명 선출직, 2명 당연직, 2명 지명직)으로 결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대신 중집위 정신을 반영, 당무위원회 구성에서 시.도지부 몫을 1명에서 2명으로 늘리는 방안이 특대위에서 거론되고 있다. 대표 선출방법은 쇄신연대의 경우 최고위원 호선, 특대위는 최다득표를 주장하고 있다. 호선의 경우 과열경쟁과 부작용을 막는다는 명분이 있지만 최고위원간의 담합이 이뤄지거나 합의에 실패해 혼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어 공정하고 손쉬운 방안인 최다득표 쪽으로 낙착될 가능성이 더 높다. ◇대표 권한= 특대위는 박상천(朴相千) 상임고문안을 일부 수용, 당무통할권 외에도 당직인사 제안권과 지명직 정무위원 지명권, 원내총무.정책위의장 불신임 회부권을 추가한 수정안을 내놓은 반면 쇄신연대는 집단지도체제의 본질을 살리기 위해 대표 권한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 고문의 ''단일성 집단지도체체''안에 동조하는 당무위원들도 상당수 있는 만큼 쇄신연대안과 박 고문안의 중간성격인 특대위 수정안이 채택될 확률이 높다. 이렇게 되면 대표의 권한도 어느정도 강화되면서 총무와 의장도 특대위안대로 직선으로 뽑은 뒤 총무에게 원내전략권과 상임위 배정권, 의장에게 정책.예산권을 주는 방향으로 갈 공산이 크다. ◇선호투표제= 후보 전원에 대해 순위를 매겨 기표하는 선호투표제의 도입도 남은 쟁점 가운데 하나. 지난달 31일 당무위원 간담회에서는 형식이 복잡해 유권자가 혼란을 겪을 수 있고 결선투표 없이 최다득표자로 당선자를 정하면 된다는 주장이 다수를 차지해 특대위안의 선호투표제를 삭제하자는 권고안이 제안됐다. 그러나 노무현(盧武鉉) 상임고문 등은 "군소 후보들의 연대 가능성을 봉쇄할 뿐 아니라 20∼30%의 득표율로 당선될 경우 당내 승복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며 도입을 적극 주장하고 있다. 이론이 있지만 결선투표가 당내 결속을 강화하는 장점이 있고 본래 특대위안에도 포함돼 있었던 만큼 도입하는 쪽으로 결론날 지 주목된다. ◇기타= 지방선거 기간에 대선후보에게 선거대책기구 구성 및 운영권을 부여한다는 특대위안도 논란거리로 남아 있다. 쇄신연대는 지방선거 패배 땐 후보책임론으로 이어질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반대하고 있지만 특대위는 "이 권한이 없어도 지방선거에서 지면 후보책임론은 불거진다"며 지방선거 때 효율적 대처를 위해서는 불가피하다고 맞서고 있지만 현재로서는특대위안이 다수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 대선후보와 대표 중복 출마를 금지하던 특대위안이 쇄신연대와 한 고문측의 의견을 받아들여 ''허용'' 쪽으로 수정됐고 국민예비경선도 7만명 규모의 선거인단중 일반국민비율을 50%로 책정한 특대위안이 무난히 채택될 전망이다. 인터넷 투표도 특대위가 적법성과 기술적 타당성을 전제로 전체 투표의 5% 범위 내에서 도입하기로 함에 따라 별다른 이견 없이 채택돼 실현성 여부에 대한 세밀한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