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개하는 공공 데이터는 빅데이터 경제의 ‘마중물’로 통한다. 전국의 교통정보, 공시지가, 기상정보 등 기업이 활용할 만한 데이터가 상당하다. 정부는 2013년 제정된 공공 데이터법에 따라 매년 중앙부처와 공공기관의 데이터를 개방해왔다. 지난해 10월 기준 민간이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는 데이터는 2만7000여 건에 이른다.

공공데이터 개방, 量은 늘고 있지만 쓸만한 건 적어
정부는 올해부터 공공 데이터를 더 폭넓게 공개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784곳이 보유한 데이터 약 42만 개 중 개인정보와 국가안보 사항에 해당하는 미공개 데이터를 제외한 11만4201개의 데이터를 3년에 걸쳐 전부 개방한다고 발표했다.

쓸 수 있는 정보가 많아지지만 기업들은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있다. 가치 있는 정보는 의외로 없다는 게 기업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최근 전국 395만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기업은 12.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필요한 공공 데이터가 없다’는 응답이 53.4%를 차지했다. 데이터를 확보할 방법을 모른다는 응답도 22%나 나왔다.

데이터 분석 전문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뉴스젤리의 정병준 대표는 “파일 형식이 제각각이거나 잘못된 데이터가 그대로 올라오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며 “오류를 지적해도 오래된 데이터는 이를 수정할 방법이 없을 때도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공공 데이터를 많이 공개하는 것보다 데이터의 포맷을 표준화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정부는 공공 데이터 개방 이후 표준화 지침을 꾸준히 갱신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파일 형식만 지원하거나 외부 응용프로그램과 바로 연결할 수 없는 데이터가 대다수다. 행안부가 운영 중인 ‘공공데이터포털’에 등록된 파일데이터는 2만5000개가 넘지만 이 중 표준데이터는 92개에 불과하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