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13년 만에 월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미 국채 금리 상승이 뉴욕증시에 지속적인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美 국채금리, 13년來 최대폭 상승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달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2009년 12월 이후 거의 13년 만에 월간 기준으로 최대 상승폭을 보였다고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지난 3월 말 연 2.324%에서 지난달 29일 연 2.885%로 마감, 한 달 동안 0.561%포인트 올랐다.

미 중앙은행(Fed)이 3~4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과 대차대조표 축소(양적긴축)를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이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이어졌다.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을 주요 목표로 삼은 Fed가 공격적인 금리 인상과 긴축에 나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미 국채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지난달 뉴욕증시는 몸살을 앓았다. 국채 금리 상승은 주식을 비롯한 위험자산에 충격을 주기 때문이다. 지난달 나스닥지수는 13.3% 떨어져 2008년 10월 이후 월간 기준으로 최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S&P500지수와 다우지수는 각각 8.8%, 4.9% 하락하며 2020년 3월 이후 최악의 한 달을 보냈다. 채권시장의 ‘큰손’들은 포트폴리오에서 미 국채를 덜어내고 있다. 국채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금리 상승은 곧 채권 가격 하락을 뜻한다. 미 투자회사 리버프런트인베스트먼트의 케빈 니컬슨 글로벌채권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포트폴리오에서 미 국채 비중을 줄이고 회사채 단기물을 늘리고 있다고 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캐나다 BMO캐피털마켓의 자료를 인용해 일본 투자자들이 최근 3개월 동안 미 국채를 600억달러(약 76조원)가량 순매도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보험사 등 기관투자가들은 안정적인 수익을 노리며 수십 년 동안 미 국채에 투자해왔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