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에게 무서운 일"…'스키니 패션' 유행 돌아오자 벌어진 일
명품 브랜드서 사라지는 '플러스 모델'
신체 다양성 인정하는 분위기 퇴보 우려

28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루이비통·구찌·프라다-플러스 사이즈 모델은 어디 있나'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영국 모델 찰리 하워드는 지난 시즌 런웨이에 돌아온 1990년대 패션을 두고 "그립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돌아온 것은 단순히 스타일만이 아니다. 그 시대에 유행했던 스키니 사이즈도 있었다"며 "여성들은 아름답다고 여겨지기 위해 사이즈를 줄여야 한다는 압박을 너무 많이 받았다"고 토로했다.
남아프리카 출신 모델 조단 다니엘도 "스키니가 돌아왔다"며 "이제 우리도 그 기준에 맞추어야 한다. 모두에게 무서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패션 검색엔진 태그워크(Tagwalk)에 따르면 이번 시즌 패션쇼를 위한 런웨이에 참여한 미드(Mid)·플러스(Plus) 사이즈 모델은 지난 시즌보다 24% 감소했다. 두 유형의 모델을 캐스팅한 브랜드는 지난 시즌 90개에서 68개로 감소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생로랑·루이비통·구찌·프라다·모스키노 등 대부분의 유명 패션브랜드 런웨이에서 미드·플러스 사이즈 모델이 아예 등장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샤넬·마이클코어스·코치·돌체앤가바나·끌로에·알렉산더맥퀸 등 일부 브랜드만 미드·플러스 사이즈 모델을 1명 이상 캐스팅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관련해 NYT는 "이번 시즌 패션위크가 끝난 후 런웨이에서의 체형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됐다"며 "패션업계는 체형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패션 트렌드를 결정하는 등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하고 하고 있다"고 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