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가입자는 지난달 1671만 명에 달했다. 출범 4년 만에 국민은행 이용자(3200만 명)의 절반을 넘어섰다.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초고속 성장이다. 카뱅 고객의 65%는 디지털에 익숙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다. 다음달 초 상장하는 카뱅의 기업가치(시가총액)는 공모가 기준으로 15조~18조원이다.
토스 가입자는 2000만 명, 월간활성사용자(MAU)는 1100만 명이다. MZ세대에 특화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출시해 3개월 만에 300만 명을 모았다. 지난달 인터넷은행(토스뱅크) 본인가를 받은 뒤 기업가치는 단숨에 3조원에서 8조원으로 뛰었다. 관련시리즈 A3면
MZ세대가 주로 이용하는 금융플랫폼업체 3~4개가 데카콘기업(기업가치 100억달러 이상 비상장사)으로 성장했다.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네이버파이낸셜)의 가치도 10조원을 넘어섰다는 평가다. 이들 ‘빅4’의 기업가치는 50조원을 훌쩍 웃돈다. KB 신한 하나 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의 시총 합계 62조원에 버금간다.
디지털 활용에 익숙하고 플랫폼에서의 ‘재미’와 ‘간편함’을 추구하는 MZ세대가 금융산업의 판을 뒤흔들고 있다. MZ세대는 아직 자산과 소득이 적지만 과감한 레버리지(대출)로 소비와 투자에 적극적이다. ‘영끌(영혼을 끌어모은) 대출’로 주식과 암호화폐 상승장을 주도하기도 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 은행권의 2030세대 가계대출 잔액은 1년간 44조7000억원 증가했다. 전체 가계대출 증가분(88조1600억원)의 50.7%를 인구의 35%가량인 MZ세대가 차지했다. 미래 고객을 넘어 이미 금융의 헤게모니를 장악하기 시작했다.
전통 금융사들은 생존 전략을 다시 짜고 있다. 조직·문화와 경영 전략, 상품과 서비스 등의 전면 개편이다. 메타버스 등 새로운 플랫폼에서 종횡무진하는 Z세대가 이끄는 ‘자이낸스(Z+finance)’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종(異種) 간 합종연횡(Zigzag) 등을 통해 새로운 기반(Zero Base)에서 금융산업이 재편될 것이란 관측이다.
“MZ세대의 목소리에 더 귀를 기울여야 한다”(윤종규 KB금융 회장), “MZ세대는 미래가 아니라 현재를 이끄는 주축이다”(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등의 다급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임영진 신한카드 사장은 2030세대 직원으로부터 ‘역멘토링’을 받고 있다. MZ세대에 선택받지 못하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가전업계의 주요 타깃층으로 떠올랐다. 중소 가전업체는 물론 삼성전자 등 대형사까지 이들을 겨냥해 유명 광고모델을 기용하거나 틈새형 소형 가전을 내놓고 있다. 1~2인 가구 비중이 크고 편리함을 중요시하는 MZ세대가 가전시장의 주소비층으로 떠올랐다는 평가다.최근 삼성전자의 맞춤형 가전 브랜드 비스포크 광고에는 인기 예능 ‘놀면 뭐하니?’에서 결성된 발라드 그룹 MSG워너비의 ‘정상동기’가 등장했다. 그룹 일원인 배우 이동휘·이상이, 가수 김정민 씨 등이 비스포크 에어드레서와 슈드레서 광고 화보를 찍었다. 지난 4월 공개된 그랑데AI 광고에는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배우들이 등장한다. 극중 산부인과 의사로 출연하는 안은진 씨가 그랑데AI를 샀다며 상대역 배우들에게 “아무것도 몰라도 알아서 다 해준다”고 자랑한 영상은 유튜브에서 조회수 355만 회를 기록했다. 제품의 기능에 집중해온 가전광고는 새로운 소비층인 MZ세대와의 소통을 거쳐 변신하고 있다.가전업계에선 MZ세대가 주로 사용하는 소형 가전도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이마트의 가전전문점 일렉트로마트는 1인 가구에 특화된 ‘혼족 가전’ 라인을 만들고 혼족 특화존을 꾸렸다. 1인용 마카롱 밥솥, 미니 화로 등 한 명이 쓸 만한 크지 않은 가전이 중심이다. 올해 상반기 마카롱 밥솥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 소형 냉장고는 19% 증가했다.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등 카카오 계열사 임원들이 자사 주식이 증시에 상장되면 수백억원대 차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행사 덕분이다.1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의 미행사된 스톡옵션은 551만3685주(공모 후 주식 수의 4.06%), 카카오뱅크는 총 267만2800주(공모 후 주식 수의 0.56%)다.스톡옵션 최다 보유자는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다. 2017년 4월 카카오페이 설립 후부터 대표를 맡고 있다. 2019년 8월 71만2030주의 스톡옵션을 받았다. 스톡옵션 행사 시 약 36억원(주당 5000원)에 주식을 살 수 있다. 상장 후 주식 가격을 공모가 최하단인 6만3000원으로 산정하면 413억원 규모의 차익을 얻을 수 있다. 상장일로부터 5년간 행사 가능하다.이진 카카오페이 사업위원회 그룹장과 나호열 기술위원회 그룹장, 이지홍 디자인위원회 그룹장 등 카카오페이 임직원도 1만 주에서 21만 주까지 스톡옵션을 갖고 있다. 스톡옵션 부여일에 따라 행사 가격이 상장일로부터 5년간 5000원(또는 9734원)에서 2023년부터 5년간 3만4101원까지 다양하다.카카오뱅크의 윤호영 대표와 김주원 부회장도 스톡옵션 행사 시 100억원대 차익이 예상된다. 윤 대표는 52만 주, 김 부회장은 40만 주를 보유 중이다. 윤 대표는 스톡옵션 행사 시 카카오뱅크 희망 공모가 범위(3만3000~3만9000원) 상단 기준 176억8000만원(비용 제외)의 차익이 가능하다. 김 부회장도 136억원의 차익을 실현할 수 있다. 정규돈 최고기술책임자(CTO)는 22만4000주를 갖고 있다. 업무집행책임자인 유호범·김석·신희철·이형주·고정희 등의 미행사 수량은 각각 4만 주, 3만5000주, 3만5000주, 7만 주, 7만 주 등이다. 직원 135명은 총 296만 주를 부여받았는데, 미행사 수량은 127만8800주다. 이를 행사할 경우 직원 1인당 평균 차익이 최대 약 3억2200만원으로 예상된다.한편 지난해 9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카카오게임즈도 이날 정규직 전 직원 360명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키로 했다. 직원 1인당 600주씩 총 21만6000주를 나눠줄 예정이다. 행사가는 7만6700원이다.윤아영/김주완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부동산 간접투자 플랫폼 업체 카사는 지난 7일 서울 서초동 지웰타워의 부동산 유동화 수익증권(DABS)을 판매했다. 모바일 앱을 통해 공모한 40억원 규모의 수익증권은 2시간30분 만에 ‘완판’됐다. 투자자는 건물의 지분만큼 임대료를 배당으로 받을 수 있고 자유롭게 사고팔아 시세 차익을 노릴 수도 있다. 2800여 명의 투자자는 평균 130만원의 지분을 보유한 어엿한 ‘강남 건물주’가 됐다. 이 플랫폼에 열광하는 건 2030세대 직장인이다. 카사가 지난해 말 공모한 서울 역삼동 런던빌의 투자자는 30대 이하인 MZ세대가 57%를 차지했다. 2030이 만들고 2030이 투자하는 플랫폼예창완 카사 대표(31)는 갓 서른을 넘겼다. 서울 강남 빌딩을 보며 ‘왜 극소수만 저 빌딩을 가질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했고, ‘나눠 가지면 가능할 것 같다’는 판단에 2018년 창업했다. MZ세대 창업자가 그동안 없던 금융 서비스를 만들고, MZ세대 소비자가 호응하는 ‘MZ금융’의 대표적 사례다.대학생 이동희 씨(26)는 ‘스니커테크(스니커즈+재테크)족’이다. 크림 플랫폼을 통해 그동안 사둔 운동화를 팔아 넉 달간 200만원가량의 차익을 얻었다. 그는 “인기 스니커즈는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올라간다”며 “‘착샷’을 잘 찍으면 좋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개인 간(P2P) 대출 중개 업체, 암호화폐거래소, 예술품 수익증권 거래소 등도 MZ세대가 주된 소비자다.이들은 금융생활에서 극한의 디지털을 추구하고, 전통적 방식에서 탈피하는 걸 주저하지 않는다. MZ세대는 직관적이고 간편하다면 언제든지 플랫폼을 옮겨탈 수 있고, 주거래 금융회사도 쉽게 바꾸는 ‘유목민’적 성향도 지니고 있다. MZ금융엔 직관 재미 흥미가MZ세대는 저축을 ‘티끌 모아 티끌’이라고 여긴다. 대신 ‘투자’를 한다. 조대현 씨(31)는 명문대 졸업 후 증권사에 입사해 8000만원 가까운 연봉을 받았다. 회사 생활은 ‘벽’의 연속이었다. 기성세대가 쌓아온 공고한 사다리가 불만이었다. 좋은 성과를 내도 그 보상을 회사 혹은 팀 단위로 가져가는 게 불공정하다고 여겼다.그는 ‘노력 대비 성과’가 가장 확실한 분야가 개인 사업 또는 투자밖에 없다고 보고 결국 암호화폐 전업투자자로 나섰다. 조씨는 “잃을 게 없는 젊음이 있기 때문에 결국 투자가 남는 장사”라며 “코인이 변동성이 크지만 그만큼 기회도 많다”고 말했다.평소 예술에 흥미가 많은 직장인 임우영 씨(28)는 미술품 및 음원 저작권 투자를 고려 중이다. 부동산 투자가 수익률이 높다는 건 익히 알지만, ‘내 집 마련’이 현실에 와닿지 않았다. 투자정보는 1차적으로 SNS를 통해 얻고, 흥미가 생기면 투자 정보사이트의 후기를 읽는다. 임씨는 “기성세대는 주식투자로 돈을 벌더라도 자랑하지 않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는 것 같은데 직장 동기나 친구들을 보면 코인·주식투자 성공사례를 자랑하고 정보도 활발히 공유한다”고 설명했다.미국 인터넷은행 애스피레이션은 신용카드 사용액의 일정액을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나무 심기에 활용하는 네오뱅크(디지털은행)다. 500만 명의 회원 중 MZ세대는 53%다. 이들은 다른 회원보다 3.5배 더 많이 SNS를 활용한다. 이상백 애스피레이션코리아 대표는 “MZ세대는 참여를 중시하며 서로 연결돼 있고, 사회적 신념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금융의 ‘게임 체인저’디지털 금융 플랫폼 업체들이 MZ세대를 꽉 잡고 있다. 카카오뱅크와 토스가 선두주자다. 시장조사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금융 앱’ 1위를 4월에는 카카오뱅크(1010만 명)가, 5월에는 토스(1130만 명)가 차지하는 등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전통 은행들은 뒷줄로 밀려나 있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 등의 모바일뱅킹 앱은 400만~800만 명대다. 핀테크업계 관계자는 “핀테크들이 자산 규모와 수익성 면에서는 대형 은행과 격차가 크다”면서도 “디지털 금융 플랫폼 세계에선 압도적인 이용자를 확보하면 게임이 끝나는 것”이라고 했다. 카카오뱅크와 토스 이용자의 60% 이상이 2030세대다. MZ세대가 경제활동의 주류로 올라서면서 이들을 선점한 금융사가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김대훈/임현우/이인혁 기자 daepun@hankyung.com